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으로, 지역사회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여러 하부체계와 이들 하부체계의 상호관련성,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건강문제 등을 규명하여 지역사회가 건강을 회복하고 성취하도록 간호계획을 세워 실천하는 활동이다. 즉,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간호사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접근하려 할 때 이용하는 문제해결과정에 기초한 조직화된 체계적인 방법으로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단계를 포함한다. 지역사회간호는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간호제공 및 보건교육을 통해서 지역사회의 적정기능 수준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보고서는 강동구 지역의 적정기능 수준 향상을 위해 간호 사정을 실시한 후 간호진단을 내리고, 우선순위에 따라 지역사회 간호문제에 대한 중재를 계획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2. 강동구의 지리적 특성
2.1. 위치 및 면적
강동구는 서울특별시 동쪽 끝에 위치한 구이다. 강동구의 전체 면적은 24.59km²이다. 이는 서울특별시 전체 면적 605.21km²의 약 4.1%에 해당한다.
강동구는 위치상 서울 동부 지역에 자리잡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경기도 구리시와 접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경기도 하남시, 서쪽으로는 광진구, 남쪽으로는 송파구와 인접해 있다.
강동구의 지리적 특성 중 가장 큰 특징은 북쪽으로 한강이 흐르고, 남쪽으로 일자산과 응봉산, 동남쪽으로는 아차산이 솟아있어 자연환경이 양호하다는 것이다. 특히 한강변에는 아파트 단지가 집중되어 있어 주거환경이 좋은 편이다.
2.2. 지형과 자연환경
강동구의 지형은 북동부에 용마봉, 아차산 등이 솟아있으며, 남동부 지역으로 갈수록 자세가 낮고 평탄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특히 한강 상류변에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강동구는 서울특별시 동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경기도 구리시와 맞닿아 있고, 동쪽으로는 경기도 하남시, 서쪽으로는 광진구, 남쪽으로는 송파구와 접하고 있다. 강동구의 전체 면적은 2014년 기준 24.59 km²이다.
강동구의 지형은 구의 북동부에 솟아 있는 산지와 남동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평탄한 지형의 특성을 보인다. 구의 북동부에는 용마봉(해발 287m), 아차산(해발 293m) 등의 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남동부로 갈수록 낮은 고도의 지형이 나타난다. 특히 한강이 흐르는 구의 남부 지역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 있는 특징을 보인다.
강동구는 서울특별시 동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한강 상류변을 따라 발달한 도시이다. 북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경기도 구리시와 접하고, 동쪽으로는 경기도 하남시, 서쪽으로는 광진구, 남쪽으로는 송파구와 인접해 있다. 강동구의 전체 면적은 2014년 기준 24.59 km²이다.
강동구의 지형은 비교적 다양한 편이다. 구의 북동부에는 용마봉(해발 287m)과 아차산(해발 293m) 등의 산지가 솟아 있으며, 남동부로 갈수록 지형이 점차 낮아지는 평탄한 특성을 보인다. 특히 한강이 흐르는 구의 남부 지역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발달해 있다.
2.3. 주요 명소
강동구의 주요 명소는 다음과 같다.
서울 강동구 천호공원은 강동구의 대표적인 근린공원으로, 음악분수, 야외무대, 체력단련시설을 갖추고 있어 시민들의 여가생활 및 노년층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1998년 개장 이후 인근 주민들의 산책, 운동, 나들이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새로 설치된 음악분수는 아름답게 연출되어 관광객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서울 암사동 유적은 아차산성을 마주보는 한강변에 위치한 신석기시대 유적지이다. 3개의 문화층이 확인되었으며 B.C 4,000~3,000년 기에 걸친 유적이 발견되었다. 20여 기의 집터와 딸린 시설, 돌무지시설이 드러났으며, 빗살무늬 토기, 돌도끼, 그물추, 불에 탄 도토리 등이 출토되어 당시 생활모습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구암서원터는 백제 불교의 효시인 백중사가 있던 자리이다. 강동구 암사동에 위치한 구암서원은 조선 중기 현종 8년(1667)에 건립되었으며, 이 지역의 유생들이 유교적인 학식과 교양을 쌓아 과거에 응시하여 관료로 입신할 수 있었던 곳이다. 현재는 구암정을 건립하여 이를 기념하고 있다.
3. 인구 및 가구 특성
3.1. 총인구 및 성비
강동구의 총인구 수는 461,630명이며, 이 중 남자 인구가 226,158명(48.99%), 여자 인구가 235,472명(51.01%)으로 나타난다. 즉, 강동구의 성비는 96으로,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강동구의 총인구는 461,630명이며, 이는 서울시 전체 인구의 약 4.6%에 해당한다. 또한 전체 인구 중 여성이 51.01%로 남성의 48.99%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강동구의 성비는 96으로 나타난다. 이는 서울시 평균 성비인 92.5보다 다소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여성 인구 우세 현상은 강동구의 전반적인 인구 구조와 특성을 설명하는 데 주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3.2. 연령별 인구구조 및 노령화 지수
강동구의 연령별 인구구조 및 노령화 지수는 다음과 같다.
총인구 461,630명 중 65세 이상 인구가 75,922명으로 16.57%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30-49세가 144,849명(31.4%)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50-64세 108,999명(23.58%), 20-29세 59,142명(12.85%), 10-19세 39,338명(8.38%), 0-9세 33,380명(7.22%), 65세 이상 75,922명(16.57%) 순으로 나타났다.
노령화 지수, 즉 65세 이상 인구를 0-14세 인구로 나눈 값은 174.8%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100.7%)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노년 부양비, 즉 15-64세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8.2%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