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상자 사례
1.1. 일반적 사항
대상자 이OO는 64세 여성으로, 등록번호 *****번 입원환자이다. 그는 2018년 7월 자전거 타다 넘어지면서 발생한 우측 대퇴골 경부 골절로 내원하여 내고정술(MSF)을 받고 퇴원한 후, 외래 추시 관찰에서 골절의 함몰 및 불유합 소견이 나타나 디바이스 제거 후 고관절 전치환술(THR)을 위해 재입원하였다.
1.2. 입원 및 질병 관련 정보
환자는 64세 여성으로, 고혈압 병력이 있는 분이다. 2018년 7월 자전거 타다 넘어져 우측 대퇴 골 경부 골절이 발생했으며, 이에 대해 내고정술(MSF) 수술을 받고 퇴원했었다. 그러나 외래 추시 검사에서 골 유합 실패 및 괴사가 발견되어 내고정물 제거 후 인공고관절 치환술(THR) 시행을 위해 입원하였다.
입원경로는 외래였으며, 보호자 동반하에 걸어서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안정적이었다(Vital Sign 36.8-88-20-120/80). 주호소는 우측 고관절 통증이었으며, 이전 수술 후 발생한 골 유합 실패 및 괴사에 대한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을 앓고 있었으며, 8년 전부터 약물 치료를 받고 있었다. 2018년 7월 자전거 사고로 우측 대퇴 골 경부 골절이 발생하여 내고정술(MSF)을 받았고, 이번에 골 유합 실패 및 괴사로 내고정물 제거 및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받게 되었다. 그 외 다른 특이 병력이나 수술력은 없었다.
알러지 병력은 없었으며, 투약력으로는 고혈압약만 복용하고 있었다. 입원 당시 의식 상태는 명료하였고, 의사소통도 원활하였다. 지남력도 온전하였다.
1.3. 검사 및 진단
진단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8.11.29 CT, X-ray 검사 결과 대상자의 우측 대퇴골 경부에 골절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18.11.29 일반혈액검사 결과, 적혈구 수(RBC) 3.32×106/㎕로 정상 범위(4.2~5.4×106/㎕) 하한선 이하, 헤모글로빈(Hb) 9.7g/dL로 정상 범위(12.0~17.0g/dL) 하한선 이하로 나타났다. 이는 수술로 인한 다량의 출혈로 빈혈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응고 기능을 나타내는 aPTT는 30.3초로 정상 범위(29~43초) 하한선 이하, PT (prothrombin time)도 12.5초로 정상 범위(12.5~14.7초) 하한선 이하로 나타나 출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일반 혈액 검사 결과 백혈구 수(WBC) 8.25×103/㎕로 상승되어 있어 급성 감염의 소견을 보였다"".
1.4. 수술 정보
수술 정보는 다음과 같다.
수술 전 준비사항으로, 내과적 질환으로 인해 오랫동안 혈액응고 저해제를 복용한 경우 주의해야 하며, 수술 전 X선 촬영, CT, MRI 등의 검사를 통해 관절 상태를 확인한다"" 이다.
수술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수술을 진행할 고관절 측의 피부를 절개한다. 2) 주위 근육과 관절막을 절개한다. 3) 대퇴골의 골두를 제거한다. 4) 제거한 부분을 인공 고관절로 대치한다. 5) 수술 부위를 봉합한다"" 이다.
수술의 성공 가능성은 환자별로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80% 이상이며, 소요 시간은 2~3시간으로 추정되지만 수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다.
수술 준비 및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부득이하게 수술 방법이 변경되거나 수술 범위가 추가될 수 있다"" 이다.
1.5. 회복실 간호
회복실에 도착한 대상자는 낙상 예방을 위해 침상난간을 올리고 침상 바퀴를 고정하였으며, 체온 유지를 위해 워머와 담요로 덮어주었다.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였고, Pulse oximeter와 NIBP를 적용하였다. 회복실 도착 시 ARCCC 점수를 확인한 결과 총 7점이었으며, 회복실 퇴실 전 다시 ARCCC 점수를 측정한 결과 총 9점이었다. 이에 따라 회복실에서 2021년 9월 28일 오전 11시 30분에 병동으로 퇴실하였다. 회복실에서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폐합병증, 쇼크, 상처감염 등의 합병증과 수술 부위 통증, 정서적 불안 등의 증상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6. 수술 후 합병증 및 간호중재
인공고관절 전치환술(THR) 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