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1.1. 말하기 과제의 유형
말하기 과제의 유형은 크게 실제적 과제와 교육적 과제로 나눌 수 있다""(문서 1). Nunan(1980)에 따르면, 실제적 과제는 교실 밖에서의 과제를 교실 활동으로 도입한 것이고, 교육적 과제는 교육적 목적에서 실제적 과제 수행을 촉진하기 위해 교실 활동으로 도입한 과제를 말한다""(문서 1).
말하기 과제의 유형에는 인터뷰하기, 정보차 활동, 짝 활동, 문제해결 활동, 역할극, 발표하기 등이 있다""(문서 1). 이러한 활동들은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며, 학습자들은 활동 과정에서 정확성보다 유창성에 중점을 두고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문서 1).
또한 말하기 과제를 구성할 때는 학습자의 역할, 교수자의 역할, 활동이 이루어지는 단위 등을 고려해야 한다""(문서 1). 특히 짝 활동이나 소그룹 활동을 통해 학습자에게 더 많은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문서 1).
1.2. Nunan 1980의 과제 구성 요소
1.2.1. 활동(activity)
활동(activity)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가 수행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활동은 언어의 형태보다는 의미에 중점을 둔다. 활동 과정 중 학습자들은 기학습한 언어 기술을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정확성보다 유창성에 중점을 두고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활동 유형에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유형들이 존재한다.
구체적인 활동의 예로는 인터뷰하기, 정보차 활동, 짝 활동, 문제해결 활동, 역할극, 발표하기 등이 있다. 인터뷰하기는 정보 파악을 위한 유의미한 발화 활동으로 실생활에서의 의사소통과 유사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정보차 활동은 A만 알고 있는 정보를 B에게 전달하거나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는 활동으로 실제 상황에서의 과제 형태로 확장할 수 있다. 문제해결 활동은 소집단 활동을 통해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두어 실제 상황에서 과제 형태로 확장할 수 있다. 역할극은 특정 상황에서 상대방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활동이며, 발표하기는 읽기/쓰기 등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이처럼 활동은 언어의 형태보다 의미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단순한 반복 및 연습을 넘어 실제 상황에서 유의미하게 언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2.2. 역할
학습자의 역할은 과제수행자, 상호작용자, 청자, 모니터 등이다. 과제를 수행하는 주체로서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 다른 학습자들과 상호작용하며 소통하는 역할, 다른 학습자들의 발화를 듣고 이해하는 청자, 자신의 학습 과정을 점검하고 모니터링하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교수자의 역할은 수업의 단계에 따라 달라지는데, 맥락을 이용한 도입 단계에서는 대화 상대자, 제시단계에서는 지휘자, 연습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언어 사용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모니터, 과제 수행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의 원활한 과제 수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 도움을 주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촉진자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교실에서의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이 과제 중심의 수업에서는 더욱 유의미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1.2.3. 활동조건
활동조건은 과제가 수행되는 환경이나 조건, 교실배열 등을 말한다. 활동이 이루어지는 단위로는 개별활동, 짝 활동, 소그룹 활동, 대그룹 활동, 학습 전체 활동 등이 있다.
짝활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