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속 역사의 사실과 허구 - 광해군 이야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와 역사적 사실
1.1. 영화 소개
1.2. 실록과 영화의 차이
1.3. 영화의 허구적 요소
2. 광해군의 생애와 업적
2.1. 광해군의 성장과 왕세자 시절
2.2. 광해군의 즉위와 통치
2.3. 광해군의 주요 정책과 업적
2.3.1. 대동법 시행
2.3.2. 중립외교 정책
2.3.3. 동의보감 편찬
2.3.4. 동국신속삼강행실도 편찬
2.4. 광해군에 대한 비판과 논란
2.4.1. 토목 공사와 민생 피폐
2.4.2. 인목대비와 영창대군 탄압
2.4.3. 옥사와 매관매직
3. 광해군의 폐위와 유배
3.1. 인조반정의 배경
3.2. 인조반정과 광해군의 폐위
3.3. 광해군의 유배와 죽음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와 역사적 사실
1.1. 영화 소개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는 광해군 8년(1616년) 2월 28일을 배경으로 한다. 왕위를 둘러싼 권력 다툼과 붕당정치로 혼란이 극에 달한 시기에 광해군은 자신의 목숨을 노리는 자들에 대한 분노와 두려움으로 점점 난폭해져 가던 상황이다. 이에 광해군은 도승지 허균에게 자신을 대신할 대역을 찾을 것을 지시한다. 허균은 기방의 취객들 사이에서 걸쭉한 만담으로 인기를 끌던 하선을 발견한다. 왕과 똑같은 외모와 연기력, 말솜씨를 갖춘 하선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궁에 끌려가 광해군의 대역을 맡게 된다. 이후 광해군이 갑자기 쓰러지는 사건이 발생하고, 허균은 하선에게 왕의 대역을 할 것을 명한다. 천민 출신의 하선은 왕이 되어 국정을 다스리지만, 점점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위태로운 처지에 놓인 하선을 구하고자 호위무사 도부장이 나서며, 하선은 무사히 배를 타고 떠나게 된다.
1.2. 실록과 영화의 차이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는 조선 15대 왕인 광해군의 생애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지만, 실록과 영화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첫째, 영화는 단 한 줄의 역사적 기록만을 모티브로 하여 대부분의 내용이 허구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록에는 광해군 8년 2월 28일 '숨겨야 될 일들은 조보(朝報)에 내지 말라'는 기사가 전부이지만, 이를 기반으로 영화는 가짜 왕을 내세워 왕권 다툼을 다룬다. 반면에 실록은 당시 조정의 정치적 상황과 광해군의 통치 행보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둘째, 영화에서 도승지 역할을 맡은 허균은 실제로는 도승지가 아니었다. 또한 영화에서는 서인들이 광해군을 비판하는 것으로 나오지만, 당시 조정에서 주도권을 잡고 있었던 것은 북인이었다. 실록에는 이이첨을 중심으로 한 북인 세력이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던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셋째, 영화 속 대동법 정책의 중단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 대동법은 광해군 1년부터 시행되었고, 경기도를 시작으로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대동법이 광해군 집권기 내내 경기도에 한정되어 있었던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처럼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는 역사적 사실과 많은 차이를 보이며, 대부분의 내용이 허구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1.3. 영화의 허구적 요소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에는 많은 허구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먼저, 영화의 주인공인 '하선'은 실제 역사 속 인물이 아닌 완전한 허구의 인물이다. 실록에는 '하선'과 유사한 이름을 가진 선비가 등장하지만, 천민 출신으로 왕의 대역을 맡게 된다는 내용은 영화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허구적 설정이다.
또한 광해군이 자신의 대신 하선을 왕의 자리에 세우고 그의 행적을 관찰한다는 내용도 실록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완전한 허구이다. 실제 역사 기록에 따르면 광해군은 왕위에 오른 후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갖가지 음모와 폭력을 행사했던 것으로 나타나지만, 영화에서는 그의 면모를 다소 미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그 외에도 영화에서는 광해군과 도승지 허균의 관계, 그리고 도부장의 등장 등 실제 기록에서 찾아볼 수 없는 등장인물과 사건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광해, 왕이 된 남자'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영화 제작자의 창의적 상상력이 가미되어 상당 부분 허구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 광해군의 생애와 업적
2.1. 광해군의 성장과 왕세자 시절
광해군은 선조의 둘째 아들로, 1575년에 태어났다. 어머니는 공빈 김 씨이다. 선조 25년(1592) 4월 13일 임진왜란이 발발한 후 같은 달 29일에 세자로 책봉되었다. 이는 선조가 왕위를 물려주고자 한 조치였다. 그 당시 광해군은 왕자 중에서도 총명하고 학문에 힘써 주목을 받았다.
세자 시절 광해군은 왕위에 대한 욕망과 불안을 동시에 겪어야 했다. 선조는 광해군을 왕세자로 보아 그에게 인사권과 상벌권을 넘기려 했지만, 개인적인 질투와 견제로 인해 광해군은 불안정한 시기를 보내야 했다. 선조와 광해군의 관계는 원만하지 않았는데,...
참고 자료
광해, 왕이 된 남자 영화 줄거리: 김경식, 정지훈 (2015). 팩션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의 흥행 요소 분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광해군일기[중초본] 100권, 광해 8년 2월 28일 기사 3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y.go.kr/search/inspectionDayList.do?id=koa_108020&did=koa_10802028
광해, 왕이 된 남자: 역사와 사실의 간극
http://shindonga.donga.com/3/all/13/111558/2
광해군 일기 사진: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oa_108010
승정원일기 사진:
http://sjw.history.go.kr/main.do
광해, 왕이 된 남자 제작노트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3893
광해, 왕이 된 남자, 어디까지가 진짜 역사일까?
http://fivecard.joins.com/1053
이경희 (2017).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주요 등장인물의 복식 고증. 한복문화
광해, 왕이 된 남자: https://namu.wiki/w/%EA%B4%91%ED%95%B4%2C%20%EC%99%95%EC%9D%B4%20%EB%90%9C%20%EB%82%A8%EC%9E%90
김개시: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71965&cid=40942&categoryId=33383
대동법: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80716&cid=40942&categoryId=31840
° 광해군 일기 (국사편찬위원회)
° 광해군 – 탁월한 외교정책을 펼친 군주 (한명기, 역사비평사, 2000)
° 광해군 – 그 위험한 거울 (오항녕, 너머북스, 2012)
° Who? 광해군 (다산어린이, 스튜디오 다산, 2016)
° 광해군의 평가양상에 대한 기억과 의미(서강대학교, 나혜영, 2014.12)
° 광해군대 궁궐영건 재고(손신영)
° 광해군 상 내 몸이 가루가 되어도 좋으리(이기담, 창작시대, 2002)
° 광해군 하 내게 소중한 건 오직 백성들뿐(이기담, 창작시대,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