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약물중독
1.1. 약물중독의 정의
약물중독이란 약물에 대한 심리적 육체적 의존이 심한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약물중독은 사고로 인해 과량의약물을 복용하였거나, 남용에 의해 발생한다. 약물중독자는 약물을 계속 사용하거나 어떤 수간을 통해서 그 약물을 획득하고자 하는 억누를 수 없는 욕망 혹은 강박감을 가지거나, 지속적으로 복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약물의 효과에 대해 정신적·육체적으로 의존하며, 크고 작은 개인적 문제나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특징을 보인다. 약물중독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므로, 예방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1.2. 약물중독의 특징
약물중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약물을 계속 사용하거나 어떤 수간을 통해서 그 약물을 획득하고자 하는 억누를 수 없는 욕망 혹은 강박감을 가지거나, 지속적으로 복용량을 증가시키거나 약물의 효과에 대해 정신적·육체적으로 의존하며, 크고 작은 개인적 문제나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약물중독자의 인성 특성은 수줍음이 많고, 소외되어 있으며, 참을성이 없고, 쉽게 자극에 흥분하며, 지나치게 예민하고, 좌절, 불안, 의기 소침하며, 욕망의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고 성적으로 억압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타인과 어렵게 관계를 맺으며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고, 충동·모험, 건강에 대해 무관심하며, 강한 권력욕구를 갖고 있으나, 이를 성공적으로 성취하지는 못하고, 권위에 저항한다. 약물은 이런 사람들에게 편안한 느낌과 권력감, 성취감 등을 주기 때문에 약물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약물의 사용은 내면의 고통에 대한 자기 치료의 의미라고 할 수도 있다.
1.3. 약물중독의 발생 원인
1.3.1. 생물학적 원인
약물중독의 생물학적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생화학적 이론에 따르면 개인들이 일단 약물을 취하기 시작하면 그들의 생리현상은 당뇨병자가 인슐린을 갈망하는 것과 같이 약물을 '갈망'한다는 것이다. 약물을 반복 투약하면 신체적으로 이들을 원하는 대사(신진대사)의 주기가 생긴다는 것이다. 즉, 약물 사용의 반복으로 인해 신체가 약물에 적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약물 없이는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둘째, 유전이론에 따르면 부모가 약물중독자이면 자녀는 약물중독이 아닌 부모의 자녀에 비해 중독자가 될 확률이 높고, 친부모가 약물중독자인 입양아는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하여 약물에 중독될 확률이 4배라고 한다. 이는 약물중독이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아동기 병력 이론에 따르면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증이나 행동장애의 아동기 병력이 있으면, 물질 중독이 될 위험성이 높다고 한다. 반사회적 인격장애나 경계성 인격장애 역시 물질 중독의 유발인자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선천적으로 결정된 성격이나 기질적 요인이 약물중독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처럼 약물중독의 생물학적 원인은 신체적 적응, 유전적 요인, 그리고 선천적 기질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특성은 개인이 약물에 쉽게 중독되게 만들고 중독 상태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한다.
1.3.2. 심리적 원인
약물중독의 심리적 원인은 다음과 같다. 약물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이며 더 자기애적이고 보다 수동적이다. 즉, 약물에 의존하는 사람은 다양한 원인에서 문제 있는 가족관계, 건전한 역할모델의 결핍, 모순적 부모의 기대, 그리고 애정결핍 등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이다. 정신분석학에 따르면, 인간은 주위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과정 속에서 일련의 발달단계를 통하여 인성을 조직하고 발전시킨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거의 무의식적이고 비합리적인 욕구충족을 향하는 충동에 의해서 압력을 받는다. 이러한 무의식적 충동은 성장함에 따라 사회화되며, 각 단계별로 충족되거나 통제되어야 할 욕구가 있는데 그 욕구를 불충분하게 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