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환자안전의 개념 및 정의
환자안전의 개념 및 정의는 다음과 같다.
환자안전(patient safety)의 사전적 정의는 '병들거나 다쳐 치료를 받는 사람에게 더 이상의 위험이나 사고의 염려가 없는 상태, 또는 그러한 상황을 만들고자 하는 활동'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환자안전은 '의료서비스 전달과정 중에 발생한 환자의 부상이나 사고로부터 예방'을 뜻한다.
환자안전은 '의료제공 과정에서의 오류의 예방 및 오류로 인하여 환자에게 발생하는 손상의 제거 또는 완화의 의미'로 정의되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09)에 의하면 '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허용되는 최소한으로 낮추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미국 국립의학원(IOM, 2003)은 '환자안전'을 '작위 혹은 무작위에 의한 오류(error)로 인한 위해의 예방'이라고 정의하여 앞선 개념들의 정의와 유사한 의미임을 알 수 있다.
즉, 환자안전은 의료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그로 인한 위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1.2. 환자안전 관리의 거시적 및 미시적 차원
환자안전 관리의 거시적 차원과 미시적 차원은 다음과 같다.
거시적 차원의 환자안전 관리에는 전산 장애, 화재, 폭탄 테러 위험, 재난, 유해 물질 살포 등의 위험이 있다. 각 의료기관들은 이러한 거시적 차원의 위험에 대비하여 코드화시켜 직원들에게 교육과 훈련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미시적 차원의 환자안전 관리에는 각 의료기관이 중요하게 관리하는 간호단위의 환경관리가 해당된다. 병원 내 시설이나 환경으로 인해 환자의 안전이 위협받는 요소들이 이에 포함된다. 대표적인 예로 낙상, 욕창, 화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미시적 차원의 안전관리가 오늘날 병원 환경 안전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의료기관 평가기관인 JCI(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에서는 '낙상 위험 감소', '병원 감염 위험 감소' 등의 국제 환자 안전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1.3. 환자안전 목표
환자안전 목표는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환자안전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세부 목표들이다.
대표적인 환자안전 목표로는 ① 정확한 환자 확인, ② 효과적인 의사소통 향상, ③ 고위험 약물 투약 안전 향상, ④ 정확한 수술 부위, 수술 방법, 수술환자 확인, ⑤ 병원 감염 위험 감소, ⑥ 낙상 위험 감소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환자안전 목표들은 국제 의료기관 평가기관인 JCI(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에서 제시한 국제 환자 안전 목표로, 의료기관의 필수적인 관리 영역이 되고 있다."
2. 주요 환자안전 관리 영역
2.1. 환자 확인
환자 확인은 환자안전 관리 영역 중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의약품 투여 전, 혈액제제 투여 전, 검사 시행 전, 진료·처치 및 수술/시술 전에 정확한 환자 확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환자 확인 과정에서는 개방형 질문을 통해 이름 확인, 생년월일, 등록번호 등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지표를 사용하여 확인하며, 이를 통해 환자 확인 오류 문제의 발생 소지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병원은 명확한 환자 확인 방법과 절차를 마련하고, 직원들이 이를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2.2. 욕창 예방
욕창은 장기 입원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욕창은 조기사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감염과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제대로 치유되지 않으면 사망의 위험성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예방이 가능한 욕창의 초기 단계부터 명확히 하고 악화 방지를 위해 예방적 중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욕창은 피부와 피부 아래 조직에 발생하는 국소적인 손상으로, 압력, 마찰, 전단력 등의 기계적 요인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욕창의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영양 불량, 감각 및 운동 기능 저하, 습기, 마찰력과 전단력 등이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입원 시부터 욕창 고위험군 선별을 위해 환자의 피부 상태와 욕창 위험 요인을 사정해야 한다.
Braden scale은 욕창 위험도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도구로, 피부 감각, 피부 습기, 활동도, 운동성, 영양 상태, 마찰과 전단력 등 6개 영역을 평가한다. Braden 점수가 18점 미만이면 욕창 고위험군으로 평가되어 예방적 간호 중재를 집중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 중재로는 첫째, 정기적인 피부 사정과 욕창 발생 위험 사정을 통해 신속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