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제주도 여행 계획
1.1. 제주도 개요
1.1.1. 위치와 면적
제주도는 한반도 남서 해상에 위치한 섬으로, 서울과 452㎞, 목포와 141㎞, 부산과 297.6㎞ 떨어져 있다. 제주도의 총면적은 1,845㎢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이며, 9개의 유인도와 54개의 무인도와 함께 행정구역상 가장 작은 도를 구성하고 있다.
1.1.2. 인구와 기후
제주도의 총인구는 1997년말 현재 528,360명이며, 남녀별 구성비는 남자 49.4%, 여자 50.6%이다. 전국 대비 인구 비중은 1.13%이고 가구 당 평균 인구수는 3.3명이다.
제주도의 기후는 난대성 해양성 기후이며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계절성 기후이다. 연평균 기온은 16°C이며 제주도 연평균 강수량은 1530mm(제주시 1440mm, 서귀포시 1688mm)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다.
1.1.3. 지형과 지질
제주도의 지형과 지질은 매우 독특하고 흥미로운 특징을 보인다. 지금으로부터 약 100만년 전인 제3기의 프라이오세 말기로부터 제4기의 프라이스토세 초기에 걸쳐 있었던 화산 활동에 의해 생성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주도의 지표면은 투수성이 강한 현무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비교적 많은 강우량에도 불구하고 지하로 빠져들어 하천은 거의 대부분 건천 상태가 되어 물이 흐르지 않는다.
제주도 지형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용암동굴지대라는 점이다. 현재까지 약 60여 개의 용암동굴이 확인되어 있는데, 이는 마치 지하세계로 들어가는 듯한 느낌을 준다. 특히 만장굴의 경우 길이가 무려 13,422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용암동굴 시스템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제주도 전역에 걸쳐 펼쳐진 주상절리는 또 다른 지질학적 볼거리이다. 주상절리는 용암이 급격히 냉각되면서 생성된 것으로, 거대한 돌기둥들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모습이 압권이다. 대표적인 주상절리 관광지로는 대포동 주상절리가 있다.
이처럼 제주도의 지형과 지질은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독특한 지질학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제주도가 세계적인 지질학적 보고(寶庫)라 할 수 있으며, 연구와 관광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1.4. 동물과 식물
제주도는 한반도 남서 해상에 위치한 섬으로, 다양한 동물과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육상동물은 곤충류 3,315종, 양서류 9종, 파충류 11종, 조류 281종, 포유류 16종이 있다. 특히 제주도에 서식하는 곤충들 중 많은 종이 제주도 특유의 환경에 적응하며 서식하고 있다. 양서류와 파충류의 경우 한대성과 열대성 동물이 함께 공존하고 있으며, 조류와 포유류 또한 다양한 종이 확인되고 있다.
제주도의 식물 종수는 2,001종으로, 이 중 63종이 멸종위기종, 12종이 감소추세종, 10종이 특산종, 32종이 희귀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특히 풍란, 솔잎난 등 멸종위기종과 관중 등의 감소추세종이 발견되고 있어 제주도 생태계 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처럼 제주도는 한국 고유의 다양한 동식물종이 서식하고 있어,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1.2. 제주도 여행 스케줄
'제주도 여행 스케줄'은 첫 날 제주국제공항에 도착하여 만장굴, 비자림, 점심식사, 우도 방문 등 일정이 가득 차 있다. 둘째 날에는 성산일출봉, 제주민속촌, 신영 영화박물관, 천제연 폭포, 월드컵 경기장, 잠수함 등을 둘러보며 제주도의 주요 관광지를 둘러보게 된다. 셋째 날에는 주상절리, 여미지 식물원, 천제연 폭포, 퍼시픽랜드, 테디베어박물관, 송악산 등을 방문하여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마지막 날에는 분재예술원, 한림공원, 협재해수욕장, 신천지 미술관, 도깨비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