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분만
1.1. 정의
자연분만은 자궁 내 태아와 태반을 포함한 그 부속물들이 만출력에 의해 산도를 통과하여 모체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보통 임신 37주 이후 분만하는 경우를 만삭 분만으로, 임신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경우는 조산 또는 조기 분만이라고 칭한다. 또한 임신 42주 이후에 분만하는 경우는 과숙 분만이다. 자연분만은 자궁 수축, 즉 진통에 의해 자궁경부가 점차 얇아지고 열리면서 결국에 태아가 질을 통해 바깥으로 만출되는 과정이다.
1.2. 병태생리
1.2.1. 분만 단계
1.2.1.1. 분만 제1기
분만 제1기는 진통 시작에서 자궁경부가 완전히 개대(10cm)될 때까지의 단계이다. 이 단계는 초산부의 경우 약 10-12시간, 경산부의 경우 약 4-6시간 정도 소요되는데 분만의 전체 과정 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계이다.
분만 제1기는 잠재기와 활동기, 그리고 이행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잠재기에는 15-20분 간격으로 진통이 오다가 차츰 간격이 짧아지고 오래 지속되며, 후반부에는 5-6분 간격으로 진통이 빨라지면서 자궁구가 완전히 열린다. 활동기에는 자궁구가 4-7cm 개대되며, 이행기에는 자궁구가 8-10cm까지 완전히 개대된다.
분만 제1기 동안 산모의 자궁수축은 점점 강해지고 빈도도 증가한다. 진통은 자궁의 수축과 함께 진행되며, 처음에는 20-30분 간격으로 10-20초간 지속되다가 점점 간격이 짧아져 10분 이내로 오면서 진통 강도가 심해진다. 또한 태아는 턱을 가슴에 붙이고 머리를 숙인 자세로 골반을 통과할 준비를 한다.
의료진은 내진을 통해 자궁구의 개대 정도, 산도의 부드러움, 양막 파열 여부, 태아의 하강 정도 등을 확인한다. 그리고 태아감시장치로 태아의 심장박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태아의 안전 상태를 점검한다. 만약 진통이 약해 분만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자궁수축제를 투여할 수 있다.
이처럼 분만 제1기는 자궁수축의 증가와 자궁구의 개대, 그리고 태아의 하강 등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1.2.1.2. 분만 제2기
분만 제2기는 자궁경부의 완전 개대(10cm)부터 태아가 완전히 만출되는 시기이다. 이 단계는 분만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태아가 질을 통해 외부 세계로 나오게 된다.
분만 제2기의 평균 소요 시간은 초산부의 경우 약 1시간 20분, 경산부의 경우 약 30분 정도이다. 그러나 개인차가 크므로 이는 대략적인 시간이다. 산모의 상태와 태아의 상태에 따라 분만 제2기 소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분만 제2기가 시작되면 산모는 아래로 힘을 주어 태아를 밀어내는 충동을 강하게 느끼게 된다. 이때 산모는 숨을 참고 복부 근육을 수축시켜 태아를 밀어내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반사적인 힘주기 노력은 태아의 하강을 촉진하고 분만을 도와준다.
분만 제2기 동안 간호사는 산모의 힘주기를 잘 관찰하고 격려해주며, 태아의 심박동수와 양상을 정기적으로 확인한다. 또한 산모의 파트너와 함께 지속적으로 산모를 지지하고 도와준다.
회음절개술은 분만 제2기에 태아의 머리가 회음부를 신장시킬 때 흔히 행해진다. 이는 회음부 열상을 예방하고 보다 원활한 분만을 돕기 위함이다. 회음절개술 후 회음부 열상 부위를 봉합하고 회복을 위한 간호를 제공한다.
분만 제2기가 종료되면 분만 제3기가 시작되어 태반 만출 과정이 이어진다. 분만 제2기는 태아 출산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로, 숙련된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적절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1.2.1.3. 분만 제3기
분만 제3기는 아기가 태어나고 태반이 나오는 시간으로, 아기가 태어난 지 5~10분이 경과하면 자궁이 강하게 수축하면서 태반이 나온다. 태반은 일반적으로 늦어도 20~30분 내에 나오며 이렇게 태반, 탯줄이 빠져 나감으로써 분만이 종료된다.
태반이 나오면 자궁의 수축이 잘되는지, 출혈이 없는지, 자궁 내에 잔여물이 남지 않았는지, 상처는 없는지 확인하고 회음 절개부위를 봉합한다. 신생아의 호흡상태 및 기형, 질병여부를 확인한다.
1.2.1.4. 분만 제4기
분만 제4기는 태반 만출에서 산욕 1-4시간까지를 말한다. 출혈이 중지되고 회복되는 기간이며 초기 접촉으로 모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자궁 이완으로 인한 출혈, 요정체, 저혈압 등의 합병증 관찰이 중요하다.
간호사는 분만 직후 산모의 신체 상태를 세밀하게 관찰한다. 혈압, 맥박, 체온 등의 활력징후를 15분 간격으로 체크하고, 자궁저부의 위치와 상태, 방광 상태, 오로의 양과 성상 등을 확인한다. 회음부의 상처 부위도 면밀히 관찰하여 출혈, 부종, 반상출혈 등의 징후가 있는지 살펴본다.
간호중재로는 마취에서 회복되도록 돕고, 산모가 합병증 없이 정상적인 식사와 수분 섭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유수유를 격려하여 자궁수축과 출혈 예방에 도움을 준다. 가족들과의 초기 접촉과 상호작용을 지지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애착형성을 증진시킨다.
분만 제4기는 산후 출혈, 요정체, 저혈압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시기이므로, 간호사는 산모의 활력징후와 자궁상태, 출혈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신속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산모와 신생아의 안녕을 위해 세심한 간호가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2.2. 분만기전
1.2.2.1. 진입
진입은 아두의 가장 긴 직경인 대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