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통증 사정
1.1. 통증 초기 사정
환자가 처음 입원했을 때 통증의 위치(position), 양상(quality), 악화/완화요인(relieving or aggravating factor), 강도(severity), 시기(timing)와 통증력(pain history)를 사정한다"이다.
통증의 위치는 대상자에게 신체그림에 통증이 있는 부위를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한다. 통증의 양상은 대상자가 통증의 특성을 자신의 말로 표현하도록 하고 기록하여 통증의 원인을 파악한다.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 특정한 상황, 자세, 요인 등을 대상자에게 질문하여 파악한다. 통증의 강도는 치료결정에 매우 중요하므로 숫자통증등급(NRS), 얼굴통증등급(FPRS), FLACC 등급 등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통증의 시기는 통증의 시작 및 지속시간을 질문하여 기록한다. 통증력은 현재 통증과 과거 통증 경험을 사정하며 통증 관련 신체증상을 관찰한다.
1.2. 통증 재사정
통증 재사정은 통증 초기 사정 후 위치, 양상, 강도 세 가지를 반드시 포함하여 시행한다. 통증 재사정은 통증이 5점 이상, 경구약을 투여했을 때는 투약 1시간 후, 비경구 약물 투여 시에는 투약 15분 후에 시행한다. 수술 및 침습적 수술을 받은 환자, 중환자, 진통제를 투여하고 있는 환자는 통증 강도와 상관없이 최소 8시간마다 재사정한다. 통증 재사정 시 통증의 위치는 대상자에게 신체그림에 통증이 있는 부위를 표시하게 하고, 통증의 양상은 대상자의 표현 그대로 기록한다.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악화시키는 요인도 확인한다. 통증의 강도는 숫자통증등급(NRS), 얼굴통증등급(FPRS), FLACC 등급 중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이를 통해 통증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2. 욕창 위험도 사정
2.1. Braden Scale
모든 입원환자는 Braden의 도구를 이용하여 입원 24시간 이내 그리고 적어도 매 48시간 마다 또는 환자의 상태가 변하거나 나빠졌을 때 욕창발생 위험정도를 사정하고 간호기록지에 점수를 기록한다. Braden 도구는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로 위험요인의 수가 적어 편리성과 효율성이 높고 대상자나 의료시설에 관계없이 정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