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맞춤아기 개요
1.1. 맞춤아기의 개념
맞춤아기란 희귀 혈액질환이나 암 등을 앓고 있는 자녀를 치료할 목적으로 시험관 수정기술을 통해 질환 자녀의 세포조직과 완전히 일치하는 특정배아를 가려내 이 가운데 질병 유전자가 없는 정상적인 배아를 골라 탄생시킨 아기를 말한다. 이는 소설 '멋진 신세계'에서 등장한 개념으로, 아기의 운명이 국가에 의해 결정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실제로 맞춤아기가 처음 탄생한 것은 지난 2000년 8월 29일 미국에서로, 판코니 빈혈이라는 유전질환을 앓고 있는 여아에게 조직이 일치하는 골수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험관 수정을 통해 태어났다. 이처럼 맞춤아기는 여러 질환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지만, 윤리적인 이슈가 있어 향후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이를 해결해야 한다.
1.2. 맞춤아기 관련 기술
1.2.1. 유전자 가위 기술
유전자 가위 기술은 특정 DNA 부위를 자르는 데 사용하는 인공 효소로, 세포 내 특정 유전자를 편집해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이다. 유전자 가위 기술은 1세대 유전자 가위인 징크핑거 뉴클레이즈(ZFN), 탈렌(TALENs)을 사용하는 2세대 유전자 가위를 거쳐 2012년에 발표된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CRISPR)가 개발되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 Cas9)는 박테리아의 면역체계에서 유래한 DNA 절단효소로,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더할 수 있고, 다른 염기서열로 교체할 수 있다. 유전자 가위는 유전질환을 치료하는 유전자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유전자 가위에 의해 특정 염기서열을 가지는 DNA가 절단되면 생체가 가진 유전자 수복 기능에 의해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절단-수복 과정을 통해 특정 유전자의 선택적인 파괴나 제거가 가능하며, 제공 DNA나 일가닥 소수 염기를 공급하면 특정 유전자의 삽입, 교정, 변이 제작 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유전자 가위 기술은 유전질환 치료를 위한 핵심 기술로서 연평균 65%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1.2.2. 유전자 가위 기술의 원리
유전자 가위에 의해 특정 염기서열을 가지는 DNA가 절단되면 이는 생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수복 기능에 의해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절단-수복 과정을 통해 특정 유전자의 선택적인 파괴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 '제공 DNA' (donor DNA)나 '일가닥 소수 염기' (single strand oligonucleotide)가 공급되면 특정 유전자의 삽입, 교정, 변이 제작 등이 가능하다""
1.2.3. 유전자 가위 교정방법
유전자 가위 교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전자 가위에 의해 특정 염기서열을 가지는 DNA가 절단되면 이는 생체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수복 기능에 의해 다시 연결된다. 이러한 절단-수복 과정을 통해 특정 유전자의 선택적인 파괴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 '제공 DNA'(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