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의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의미는 크게 협의(狹義)와 광의(廣義)로 나눌 수 있다. 협의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이란 사회복지사들이 서비스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하는 물리적 공간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곳으로는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시설 등이 해당된다. 반면 광의의 사회복지실천현장은 물리적 장소를 포함하여 사회복지가 이루어지는 문제영역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노인복지 분야, 아동복지 분야, 장애인복지 분야 등과 같이 대상별로 나뉘며 의료, 정신, 약물 분야 등으로도 구분된다.""
1.2.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분류는 크게 네 가지 기준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기관의 목적에 따른 분류이다. 1차 현장은 사회복지사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등이 해당한다. 2차 현장은 사회복지 서비스가 제공되는 곳으로 학교, 병원, 보육시설 등이 이에 속한다.
둘째, 기관의 재원 조달 방식에 따른 분류이다. 공공기관은 정부로부터 운영되며 규정이나 지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읍·면·동 주민센터 등이 해당한다. 민간기관은 민간의 운영으로 기부금, 후원금의 목적을 띄고 있는 시민사회단체, 종교단체, 사회복지법인 등이 이에 속한다.
셋째, 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른 분류이다. 행정기관은 사회복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보건복지부, 노동부 등이 해당된다. 서비스기관은 대상이나 문제에 따라 분류되는 아동상담소, 지역사회복지관 등이 이에 속한다.
넷째, 주거서비스 제공 여부에 따른 분류이다. 생활시설은 개인적으로 살아가기 힘든 사람들이 주거를 포함한 서비스를 받는 청소년 쉼터, 미혼모 시설, 그룹홈 등이 해당된다. 이용시설은 주거 서비스를 제외하고 자신의 집에 거주하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가복지센터, 요양보호센터 등이 이에 속한다.
2.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이해
2.1. 기관의 목적에 따른 분류
기관의 목적에 따른 분류는 크게 1차 현장과 2차 현장으로 나뉜다. 1차 현장은 사회복지사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등이 해당한다. 이들 기관의 일차적인 기능이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인 곳으로, 사회복지사가 중심이 되어 활동한다. 반면 2차 현장은 기관의 일차적 기능이 따로 있으나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