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 구미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최초 생성일 2024.11.19
10,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 구미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사정
1.1. 지역사회 특성
1.1.1. 지역사회 유형, 면적
1.1.2. 지리적 특성, 기후
1.1.3. 지역사회 지도
1.1.4. 지역사회 산업유형
1.2. 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
1.2.1. 총인구
1.2.2.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
1.2.3. 출생률
1.2.4. 사망률
1.2.5. 지역주민의 교육수준
1.2.6. 지역주민의 결혼상태
1.3. 지역사회 건강수준
1.3.1. 건강행위 양상
1.3.2. 주요 건강문제
1.4. 지역사회 환경적 특성
1.4.1. 주택양상, 주거환경
1.4.2. 상·하수, 쓰레기처리
1.4.3. 대기오염, 수질오염
1.4.4. 오락시설, 운동시설
1.4.5. 사고가능성 등
1.5. 지역사회의 유용 가능한 자원 파악
1.5.1. 1, 2, 3차 의료기관 분포
1.5.2. 공공보건 의료기관 분포
1.5.3. 복지시설 현황
1.5.4.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실태
1.5.5. 각 자원이용 현황
1.5.6.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

2. 지역사회 진단
2.1. 지역사회 간호진단

3. 지역사회 계획
3.1. 목표설정
3.2. 수행계획
3.3. 평가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사정
1.1. 지역사회 특성
1.1.1. 지역사회 유형, 면적

구미시는 시간적, 공간적관계로 모인 구조적 지역사회 중 지정학적 공동체로, 지리적, 법적인 경계로 정의된 지역사회이다. 1978년 2월 선산군 구미읍과 칠곡군 인동면을 합쳐 구미시로 승격하였고 내륙 최대의 공업단지로 발전을 거듭하였다. 행정구역은 2읍 6면 19동으로 이루어져있다. 과거 구미는 선산군 중심의 농업이 산업의 주축이었으나, 1970년대 초 정부의 수출드라이브 정책에 힘입어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내륙최대의 공단도시로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사업체 종사자수가 전체 인구의 50.04%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가산업단지 내 기업체의 88.5%가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사업장 단위 생활터 사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1.1.2. 지리적 특성, 기후

구미시는 경상북도의 서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남쪽에는 칠곡군, 서쪽에 김천시, 북쪽에는 상주시, 동쪽에는 군위군과 의성군이 접하고 있다. 지세는 대게 서북방으로부터 동남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시의 중앙을 낙동강이 북에서 남으로 관류하고 있어 농공업의 발달을 위한 용수공급에 유리한 자연적인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다. 서남단에는 해발 976m의 웅장한 금오산, 동쪽에는 사면석벽의 천생산, 동쪽에는 청화산과 냉산 등이 위치하여 수려한 산세를 이루고 있다. 기후는 한반도의 남부내륙형에 속하며 비교적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겨울의 최한월은 1월로 평균 기온 섭씨 영하 5도 내외이고 여름은 분지 지형의 영향으로 8월 중 섭씨 25도 내외의 최고 평균기온을 나타낸다. 남동풍이 많이 불고, 겨울철에는 북서계절풍이 뚜렷한 경향이며, 가을철, 겨울철에는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1.1.3. 지역사회 지도

구미시의 지역사회 지도는 2읍 6면 19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미시의 행정구역은 총 27개의 분구(읍 2개, 면 6개, 동 19개)로 구성되어 있다. 동지역에는 14개의 동이 있으며, 읍면 지역에는 고아읍, 선산읍, 산동면, 도개면, 무을면, 옥성면, 해평면, 장천면의 8개 읍면이 있다. 구미시의 행정구역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19개): 인동동, 진미동, 양포동, 송정동, 지산동, 도량동, 선주원남동, 형곡1동, 형곡2동, 원평1동, 원평2동,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광평동, 임오동, 상모사곡동, 공단1동, 공단2동

읍(2개): 고아읍, 선산읍

면(6개): 산동면, 도개면, 무을면, 옥성면, 해평면, 장천면

이처럼 구미시는 동 지역과 읍면 지역으로 구분되며, 전체 27개의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1.1.4. 지역사회 산업유형

지역사회 산업유형은 구미시의 대표 산업구조와 지역주민의 경제수준 및 직업분포를 보여준다. 구미시는 '내륙최대의 공단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국가산업단지 내에는 3,250개의 기업체가 있으며, 이들 기업체에서 92,510명의 근로자가 종사하고 있다. 즉, 사업체 종사자수가 전체 인구의 50.04%를 차지하고 있어 구미시의 산업구조는 제조업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구미시의 월 가구 소득은 201-300만원이 23.7%로 가장 많았고, 301-400만원이 18.8%, 101-200만원이 15.5%, 401-500만원이 1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업분포를 보면 기타(군인, 학생, 주부, 무직)가 32.6%로 가장 높고, 기능단순노무직이 29.7%, 판매, 서비스직이 14%, 전문행정관리직이 12.4%, 사무직이 10.4%, 농림어업이 0.9%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구미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민들의 경제수준과 직업분포도 이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 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
1.2.1. 총인구

구미시의 연도별 총인구 변이는 대체적으로 큰 변화 없이 약간의 감소와 증가가 반복되는 추세를 보이며 419,000~421,000명 사이의 비슷한 수치가 유지되고 있다. 이는 구미시 지역사회 인구구조가 '항아리'형을 띠고 있어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낮으면서 출생률이 사망률보다 낮아 인구가 감소하는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0~14세 인구가 50세 이상 인구의 2배가 되지 않는 유소년층 비율이 낮고 청·장년층 비중이 크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미시의 인구 감소 추세와 고령화는 향후 국가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있다.


1.2.2. 성별, 연령별 인구구조

전국의 성별 인구구조는 2015년(남 25,758,186명, 여 25,771,152명), 2016년(남 25,827,594명, 여 25,868,622명), 2017년(남 25,855,919명, 여 25,922,625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며, 전반적으로 여성인구가 남성인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교하여 구미시의 성별 인구구조는 2015년(남 214,528명, 여 205,387명), 2016년(남 214,600명, 여 205,291명), 2017년(남 215,826명, 여 205,973명)으로 인구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남성인구가 여성인구보다 더 많은 편이다"".

연령별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구미시는 35~59세의 인구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전국은 45~59세의 인구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미시의 인구 구조는 59세 이후로 급감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전국은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전국과 비교하면 구미시의 인구 합계는 419,742명으로 전국 51,849,861명보다 낮은 수준이며, 성별로는 남자 215,208명, 여자 204,534명으로 남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4년간 동지역은 인구가 감소하였지만 읍면지역은 증가하여, 인구의 79.92%가 동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1.2.3. 출생률

구미시의 출생률은 전국 및 경북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편이다. 2018년 기준 구미시의 합계출산율은 1.110%로 전국의 0.977%보다 0.133%p 낮았으며, 경북의 1.167%보다도 0.057%p 낮았다. 최근 4년간 변화를 살펴보면 2015년 1.440%에서 2016년 1.343%, 2017년 1.201%, 2018년 1.100%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임여성 인구수,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또한 매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미시의 조출생률은 많고 조사망률은 적은 편으로 전국, 경북, 도내 인근 시와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저출산, 인구절벽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젊은 층의 자립지원, 결혼과 출산 촉진 및 육아를 사회 전체적으로 해결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1.2.4. 사망률

구미시의 사망률은 전국 및 경상북도와 비교하여 낮은 편이다. 구미시의 2018년 사망률은 410.4명/10만명으로 전국 582.5명/10만명, 경상북도 835.8명/10만명에 비해 크게 낮...


참고 자료

안옥희 외 공저(2021). 지역사회간호학I 개정판, 현문사, 서울.
안옥희 외 공저(2021). 지역사회간호학Ⅱ 개정판, 현문사, 서울.
구미시청 (https://www.gumi.go.kr/main.do)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구미보건소 (https://www.gumi.go.kr/health/main.do)
지역사회건강조사(https://chs.cdc.go.kr/chs/index.do)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