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생물이 쉽게이용하는 영양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생물의 배지와 배양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징
1.2. 배지의 정의 및 분류
1.2.1. 천연배지와 합성배지
1.2.2. 물리적 성상에 따른 분류
1.3. 배지의 사용 목적
1.3.1. 증식배지
1.3.2. 증균배지
1.3.3. 선택배지
1.3.4. 감별배지
1.3.5. 수송배지 및 보존배지
1.4. 배지 제조 및 멸균
1.4.1. 배지 제조 방법
1.4.2. 멸균 방법
1.5. 미생물 배양과 관찰 기법
1.5.1. 접종과 배양
1.5.2. 도말법
1.6. 실험 재료와 방법
1.6.1. 배지 만들기
1.6.2. 미생물 배양 및 관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생물의 배지와 배양
1.1. 미생물의 정의와 특징
미생물은 매우 작고 단순한 생물로, 단세포나 다세포로 존재하며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구분된다. 원핵생물에는 세균과 고세균이, 진핵생물에는 진균, 식물, 동물 등이 포함된다. 미생물은 실험실에서 배양하여 연구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미생물의 성장을 도와주는 배지이다.
미생물은 크기가 매우 작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으며, 대부분 단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미생물은 진정핵(진핵생물)과 원핵생물로 구분되는데, 진정핵생물에는 진균(곰팡이, 효모)과 원생생물이 포함되고, 원핵생물에는 세균과 고세균이 포함된다. 미생물은 유전적, 생리적, 생화학적, 생태학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에게 이롭게 또는 해롭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1.2. 배지의 정의 및 분류
1.2.1. 천연배지와 합성배지
천연배지와 합성배지는 배지 구성 성분의 특징에 따라 구분되는데, 천연배지는 천연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이고 합성배지는 화학적으로 순수한 물질로 구성된 배지이다.
천연배지는 육즙, 맥아즙, 혈청, 효모 분말 등 천연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로, 탄소원, 질소원, 생장소 등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이 풍부하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일반적인 배양 배지로 사용된다. 그러나 천연 물질의 정확한 화학 조성을 알기 어려우며, 배치간 균일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반면 합성배지는 모든 성분의 화학 조성이 명확히 알려진 순수한 화학물질로 구성된 배지이다. 합성배지는 미생물의 영양 요구성을 정확히 검토하거나 미생물의 대사 활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또한 특정 물질의 생산이나 특정 균주의 선별 등 미생물학 실험의 목적에 맞게 배지의 화학 조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2.2. 물리적 성상에 따른 분류
배지의 물리적 성상에 따른 분류는 크게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로 나눌 수 있다.
액체배지는 미생물의 생리실험, 대사산물 생산, 균체세포 생산 등의 목적에 사용된다. 액체배지에는 Nutrient Broth(NB), Tryptic Soy Broth(TSB) 등이 있다.
고체배지는 미생물의 보존 및 증식(colony 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고체배지는 액체배지에 한천(agar), 젤라틴 등의 고화제를 첨가하여 응고시킨 것이다. 고체배지에는 Nutrient Agar(NA), Tryptic Soy Agar(TSA) 등이 있다.
고체배지는 형태에 따라 다시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로 구분된다. 평판배지는 미생물의 분리배양, 집락관찰 등에 이용된다. 사면배지는 호기성 세균의 배양 및 보존에 사용되며, 고층배지는 젖산균이나 혐기성 세균의 천자배양, 성상검사, 통성 혐기성 세균의 보존 등에 이용된다.
결과적으로 미생물 배양을 위한 배지는 물리적 상태에 따라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로 구분되며, 고체배지는 다시 용도에 따라 평판배지, 사면배지, 고층배지 등으로 세분화된다고 할 수 있다.
1.3. 배지의 사용 목적
1.3.1. 증식배지
증식배지(growth medium)는 여러 종류의 영양소를 적당량 함유한 배지로 미생물의 증식, 순수배양, 보존 등 일반적인 배양에 사용된다. ...
참고 자료
일반미생물학 7판 / 김영민 외 8인 / 라이프사이언스 / McGrawHill
최신미생물학 / 김영재 / 월드 사이언스
분자 생물학 실험서 / 김영희 / 월드 사이언스
교수님 미생물학 프린트
유주현 외, 응용미생물학실험, 효일출판사, 54쪽
미생물학백과, 한국미생물학회, 미생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1232&docId=5144856&categoryId=61232
생물다양성, 이정숙, 미생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8943&docId=3570913&categoryId=58964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배양,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2420&docId=605625&categoryId=42420
미생물학백과, 한국미생물학회, 복합 배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1232&docId=5894584&categoryId=61232
미생물학실험, 박철희, 동화기술, p. 51~p.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