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방법
1.1. 근치적 자궁절제술 후 배뇨장애가 자궁경부암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경우 광범위한 자궁 및 자궁 주변 조직의 절제로 인해 다양한 후유증을 겪게 되며, 그 중 가장 빈번하고 심각한 후유증으로 배뇨장애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배뇨장애는 수술 후 수개월 또는 수년이 경과한 후에도 지속되면서 자궁경부암 여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궁경부암으로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90%는 장기적으로 배뇨장애, 림프부종, 배변장애 등의 증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특히 배뇨장애는 불충분한 배뇨, 절박뇨, 야뇨, 빈뇨, 요실금, 과민성 방광 등의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며, 이로 인한 일상생활에서의 불편감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을 대상으로 배뇨장애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배뇨장애의 증상 강도와 일상생활 불편감이 심할수록 대상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배뇨장애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이 클수록 삶의 질에 가장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삶의 질의 하위영역 별로 살펴보면, 배뇨장애가 대상자의 사회기능, 신체기능, 역할기능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 기능과 인지 기능 부분의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나, 배뇨장애로 인한 심리사회적 디스트레스가 큰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결과는 근치적 자궁절제술을 받은 자궁경부암 여성의 배뇨장애 관리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간호중재 영역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들 대상자의 배뇨장애를 완화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전산화단층촬영(CT) 기반 3차원 근접치료의 유용성
전산화단층촬영(CT) 기반 3차원 근접치료는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유용한 방사선치료 방법이다. 기존의 2차원 근접치료계획은 모든 환자에서 동일한 point A에 선량을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