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장기흡연노인의 금연교육
1.1. 대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
독거노인 남자 80세 ○○○씨는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노인 인구 중 76.6%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80세 이상 노인의 비율이 2004년 16.2%에서 2014년 20.6%로 증가하였다. 더불어 독거노인 가구의 비율도 2004년 20.6%에서 2014년 23.0%로 증가하여 혼자 살아가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노인들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다양한 신체 질병에 노출되어 있는데, 특히 흡연하는 노인의 경우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 위험이 비흡연 노인에 비해 79%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2. 역학적 사정
전 세계적으로 남성 사망의 16%, 여성 사망의 7%는 담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흡연이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남성의 경우 폐암 사망의 80%, 여성의 경우 50%가 흡연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나 흡연과 폐암 발생 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앞으로 2030년까지 담배로 인해 약 800만 명이 매년 사망할 것으로 보고 있어 흡연의 심각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흡연 외에도 배우자의 유무, 머리를 다친 경험, 우울증 등이 치매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배우자가 있는 노인에 비해 치매 위험이 2.4배 높았고, 흡연 노인은 비 흡연 노인에 비해 치매 위험이 1.5배 높았다. 또한 머리를 다친 경험이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치매 위험이 2배 정도 높았으며, 우울증이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3배 정도 치매위험이 높았다"".
1.3. 행위 및 환경적 사정
군대에서 처음 흡연을 시작했으며, 흡연의 기간은 60년 정도 되며 하루 1갑~1갑 반 정도이다. 자식들은 연락이 되지 않고 배우자마저 사망한 상태로 대상자는 독거노인이다. 기초수급 대상자이며 폐지를 주워다 파는 것으로 생계를 이어간다. 저녁에 집에 돌아오면 외로움, 공허함, 우울감에 담배를 끊을 수 없다고 표현했다.
1.4. 교육 및 생태적 사정
대상자는 기초수급대상자이자 독거노인으로, 초등학교 졸업의 낮은 교육 수준을 가지고 있다. 기초생활이 어려운 고령의 독거노인으로서 문화적, 사회적 자원과 지지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금연에 대한 대상자의 인식은 긍정적이지만, 금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삶에 대한 이해와 함께 행위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흡연에 대한 대상자의 인지적,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