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프로토콜 개요
1.1. 이더넷 프로토콜
이더넷(Ethernet)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 전 세계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이다. 이더넷은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와 배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한다.
이더넷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이 48비트 길이의 고유의 MAC 주소를 가지고 이 주소를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만들어졌다. 전송 매체로는 BNC 케이블 또는 UTP, STP 케이블을 사용하며, 각 기기를 상호 연결시키는 데에는 허브, 스위치, 리피터 등의 장치를 이용한다. 이더넷은 CSMA/CD 방식(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 기술을 사용하여, 이더넷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들이 하나의 전송 매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더넷 프로토콜의 프레임 구조는 다음과 같다. Preamble과 SFD는 Header로 인식되지 않는 전자 정보로, 프레임의 시작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Header에는 Destination Address, Source Address, Type/Length 필드가 포함되며, Data/Payload에는 3계층의 Header가 존재한다. 총 크기는 MTU(최소 전송 단위 46bytes, 최대 전송 단위 1500bytes)에 맞춰진다. Tailer에는 Frame Check Sequence(CRC)가 있어 내용물을 검증한다.이더넷 프로토콜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 규격이다. OSI 모델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정의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이 고유의 MAC 주소를 가지고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전송 매체로 다양한 케이블을 사용하고, CSMA/CD 기술을 통해 다수의 기기가 하나의 전송 매체를 공유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는 Preamble, Header, Data/Payload, Tailer로 구성되며, MTU에 맞춰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프로토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이더넷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10Gbps, 40Gbps 등 초고속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규격들이 등장하였다. 또한 산업용, 자동차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존 유선에서 벗어나 무선 이더넷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이처럼 이더넷 프로토콜은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의 핵심 기술로써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1.2. HDLC 프로토콜
HDLC 프로토콜은 컴퓨터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전송제어방식으로, 점대점, 다중점 링크 상에서 반이중,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HDLC는 ISO에 의해 1974년에 제정 및 공표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표준이며, LAP-B, LLC, LAP-D, PPP 등의 선구자 역할을 하고 있다"" HDLC는 고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비트 지향형 프로토콜로, 비트 중심 프로토콜의 특성상 임의의 비트패턴 전송이 가능하며 데이터 투명성을 위해 비트스터핑을 사용한다"" 또한 오류제어가 엄밀하게 이루어져, CRC 필드 방식을 사용하고 오류 발생 시 재전송 요구(ARQ)가 가능하다"" 더불어 단말기들 간 통신 방식으로 점대점, 다중점, 반이중, 전이중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HDLC는 주국과 종국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주국은 링크 제어의 책임을 갖고 명령을 내리며, 종국은 주국 제어 하에 동작하며 응답만 한다"" 또한 불균형 구성과 균형 구성이 있는데, 불균형 구성은 1:多 구성, 균형 구성은 1:1 구성이다"" HDLC의 대표적인 전송모드로는 NRM(정규 응답 모드), ABM(비동기 균형 모드), ARM(비동기 응답 모드)가 있다""
2. 무선 LAN
2.1. 무선 LAN의 정의
무선 LAN(無線 LAN, wireless LAN)은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일반적으로 확산 대역 또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두 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해 사용자는 근거리 지역에서 이동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무선랜 기술은 IEEE 802.11 표준에 기반하고 있으며, 와이파이(Wi-Fi)라는 마케팅 네임으로 잘 알려져 있다.
2.2. 무선 LAN의 개요
IEEE 802.11은 현재 주로 쓰이는 유선 형태인 이더넷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다. 필요 없는 배선 작업과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널리 쓰이고 있다. 보통 폐쇄되지 않은 넓은 공간(예를 들어, 하나의 사무실)에 하나의 핫스팟을 설치하며, 외부 WAN과 백본 스위치, 각 사무실 핫스팟 사이를 이더넷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핫스팟부터 각 사무실의 컴퓨터는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사무실 내에 번거로이 케이블을 설치하고 유지보수를 하지 않아도 된다."
2.3. 무선 LAN 망의 구성형태
무선 LAN 망의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