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아숲"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개발(숲산책 프로그램)
1.1. 서론
1.2. 숲산책 프로그램 개발
1.2.1. 프로그램 목적
1.2.2. 구성 내용
1.2.3. 세부 프로그램
1.3. 결론: 시사점
2. 숲유치원의 특징과 장점
2.1. 서론
2.2. 숲유치원의 특징
2.2.1. 숲유치원 등장배경 및 국내현황
2.2.2. 전문가들이 말하는 숲교육의 효과
2.3. 아이의 몸과 마음, 능력을 키우는 거대한 교실, 숲
2.4. 숲 유치원이 지니는 장단점
2.4.1. 장점
2.4.2. 단점
2.5. 숲 교육의 시사점
3. 숲유치원 운영 및 교육활동
3.1. 서론
3.2. 숲유치원의 하루 일과
3.2.1. 아침 활동
3.2.2. 숲 활동
3.2.3. 오후 활동
3.3. 숲유치원 교육의 장단점
3.3.1. 장점
3.3.2. 단점 및 개선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개발(숲산책 프로그램)
1.1. 서론
영유아는 자연적 환경 속에서의 실외놀이를 통해 자연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명체들의 만남과 탐색으로 감각기관의 발달과 다양한 동식물의 특성 및 성장과정을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자연생태의 원리 및 생태계의 다양성과 생명의 존엄성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자연에서의 탐색과 놀이는 자연의 경이로운 현상과 자연과 공존하는 삶의 교육적 기능을 경험하게 하고, 자연자원을 놀잇감으로 활용할 뿐 아니라 인간의 의식주 생활에 활용함으로써 자연환경이 지속가능한 자원 및 치유의 공간임을 경험하게 한다. 이에 영유아의 실외놀이는 구조화된 놀이환경보다 개방되고 넓은 자연환경을 포함한 공간에서 다양한 생명체를 만나고 탐색하며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생활공동체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활공동체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실외놀이의 대안책으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바깥놀이, 텃밭가꾸기, 산책, 숲산책 등이 실행되고 있다. 생태유아교육은 도심 속 아파트 숲과 시멘트 교실에서 유아교육이라는 이름 아래 산업문명의 최대 피해자로 병들어가는 아이들에게 잃어버린 자연과 놀이와 아이다움을 되찾아 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영유아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본 리포트에서는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중에서 지금까지 최근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는 숲산책 프로그램을 통한 보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숲산책 프로그램 개발
1.2.1. 프로그램 목적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홍익인간 및 아동중심사상을 기초로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 및 인성발달을 증진하는 데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스스로 건강한 일상생활 습관을 경험하며 안전하게 놀이한다. 둘째, 영유아 주도의 놀이경험을 통해 감각지각 능력과 안정된 신체운동조절 능력을 기른다. 셋째, 영유아가 자연과 만나 숲에 적응하고 친숙해지면서 긍정적 관계 맺기를 한다. 넷째, 영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알고 조절하여 또래, 교사, 주변 사람들과 긍정적 관계 맺기를 한다. 다섯째, 영유아가 주변 자연환경에 모든 감각으로 다양한 탐색 및 탐구 경험을 즐긴다. 여섯째, 영유아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언어, 비언어, 몸짓, 표정, 노래, 미술, 놀이로 표현한다.
1.2.2. 구성 내용
본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와 숲과의 만남을 통한 자연과 자신, 또래, 교사, 주변 사람들과의 긍정적 관계 맺기의 내용으로 구성한다"" 영유아가 숲에서 자연과 교감하며 타인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둘째, 영유아에게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을 유발하는 자연체험의 내용으로 구성한다"" 숲에서의 다양한 자연물 탐색을 통해 영유아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
셋째, 자연체험은 영유아의 자율성과 주도성으로 모든 감각탐색을 통해 스스로 깨닫고 느끼는 놀이중심의 내용으로 구성한다"" 영유아가 주도적으로 숲을 탐험하고 자신의 감각을 통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교사의 교수계획은 이루어지나 교사의 최소한의 개입으로 교수학습원리에 따른 발견과 탐색ㆍ탐구 및 통합적 원리에 따른 놀이중심으로 구성한다"" 교사는 최소한의 개입을 통해 영유아 주도의 놀이와 탐구활동을 지원한다""
다섯째,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인성교육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한다"" 숲에서의 자연체험이 영유아의 전인적 성장과 바람직한 인성 발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내용을 바탕으로 영유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이 운영될 것이다""
1.2.3. 세부 프로그램
본 프로그램의 세부 운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동식물 관찰을 통해 영아가 숲 속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생명체들을 관찰하며 호기심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특히 나무관찰 활동을 통해 나무의 특성과 변화를 관찰하면서 생명체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둘째, 신체놀이를 통해 웅덩이에서 '살려줘요' 놀이, 달리기 놀이, 오르고 내리기 놀이 등을 즐기며 안전한 보행과 대근육 발달을 도모한다. 이를 통해 영아가 신체 움직임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자연건강명상을 통해 햇빛과 바람을 느끼며 자연의 다양한 현상을 몸으로 경험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영아가 자연의 변화에 세심하게 주목하고 감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게 한다.
넷째, 자연물 놀잇감 놀이를 통해 나뭇가지로 바닥에 그림 그리기,...
참고 자료
이영녀(2014), 영아 주도의 놀이중심 숲산책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생태유아교육의 관점,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순선(2015), 자연친화적 산책활동 프로그램이 영아의 그림표현력과 정서지능 및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지은(2020), 플로러닝을 이용한 산책프로그램이 자연친화적 태도와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인정 외(200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
발도르프 교육이란?, 푸른숲발도르프학교,
연합뉴스(2013.12.24.), ‘어린이집의 마지막진실 글로벌인재 양성의 현존하는 미래’
울산여성뉴스(2013.03.20.), ‘자연생태교육 국공립 어린이집 개원’
김묘선, 이민선, <매일형 숲유치원 교사가 경험하는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보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3
이명환, “독일 자연친화 교육이 산실 ‘숲유치원’”, 꿈나래21
이코노빌, 박성근 “숲 유치원을 아시나요?”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