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방암의 이해
1.1. 유방암의 정의
유방암이란 유방에 발생한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만져지는 덩어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유방의 유관과 유엽에서 발생하는 암을 일컫는다"이다. 우리나라의 여성암 중에서 갑상샘암 다음으로 발생 빈도가 높지만,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비교적 높다. 그러나 유방암도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혈류와 림프관을 따라 전신으로 전이하여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1.2. 유방암의 원인과 위험요인
1.2.1. 유방암의 원인
유방암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지만, 여성 호르몬의 영향과 유전적 요인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빠른 초경과 늦은 폐경 등으로 인해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이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유방암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에스트로겐은 유방 상피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촉진하여 암세포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둘째, 유방암 환자의 5~10%에서는 유전적 소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RCA1과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전성 유방암의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전자 변이를 가진 여성은 유방암 발병 위험이 일반 여성에 비해 3~7배 정도 더 높다. 셋째, 신체활동 부족, 고지방식이 섭취, 알코올 섭취 등의 생활습관도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외에도 화학약품, 살충제, 방사선 노출 등의 환경적 요인들도 유방암의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다.
1.2.2. 유방암의 위험요인
유방암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오랜 기간 노출되는 것이 주요 요인이다. 초경 연령이 빠르고 폐경 연령이 늦을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임신과 출산 경험이 없거나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 유방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둘째, 유전적 요인이다. 유방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병 위험이 1.5~3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BRCA1,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유전성 유방암 발생 위험이 크다. 셋째, 고령, 비만, 음주 등의 생활습관적 요인들도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65세 이상의 고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