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cell fractionat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포 분획을 통한 세포 소기관 관찰
1.1. 실험 목적 및 가설
1.2. 세포 분획의 이론 및 원리
1.2.1. 세포 균질화
1.2.2. 세포 분획법
1.2.3. 엽록소 농도 측정을 위한 Arnon's equation
1.2.4. 엽록체의 특성
1.3. 실험 재료 및 방법
1.3.1. 실험 기구 및 시약
1.3.2. 엽록체 분리 과정
1.3.3. 엽록소 함량 측정 및 현미경 관찰
1.4. 실험 결과
1.4.1. 결과 분석
1.5. 실험 고찰
1.6. 참고문헌
2. 세포 분획을 통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관찰
2.1. 실험 목적 및 서론
2.2. 세포 분획 실험 방법 및 결과
2.2.1. 세포 분획 데이터 및 현미경 관찰 결과
2.3.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포 분획을 통한 세포 소기관 관찰
1.1. 실험 목적 및 가설
실험의 목적은 식물을 세포 분획법을 거쳐 관찰하여 식물세포의 세포 기관들을 알아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원심 분리기에서 더 속도가 빠르고 오랜 시간 있을수록 가라앉는 세포기관이 더 가볍고 작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실험의 목적은 mouse의 기관과 조직별 세포를 채취하고 세포 내 핵과 미토콘드리아 소기관을 cell fractionation 방법으로 분리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세포의 핵과 미토콘드리아의 특성과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1.2. 세포 분획의 이론 및 원리
1.2.1. 세포 균질화
세포 균질화란 생물의 조직을 갈아 부수어 얻어낸 것을 말한다. 세포 기관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포막, 핵, 소기관 등을 파괴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균질화 과정이다. 보통의 단순한 방법으로는 핵이나 미토콘드리아 등의 세포 내 소기관이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세포 성분의 분획, 추출재료로 이용한다.
균질화는 막자사발, 세제 처리, 기계적인 절단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효과적인 균질화를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와 pH, 삼투압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효소들은 저온에서 불활성화되므로, 세포 구성성분의 손상을 막기 위해 균질화 과정을 낮은 온도에서 진행해야 한다. 또한 일부 버퍼들은 특정 온도에서 활성화되므로, 온도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균질화된 시료는 초원심분리기나 전기영동법 등을 통해 세포 소기관별로 분획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세포 소기관은 분자 구조 및 기능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균질화 및 분획 방법은 목적으로 하는 세포 소기관에 따라 달리 설계되어야 하며, 최적의 조건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1.2.2. 세포 분획법
세포 분획법은 세포를 파쇄하여 특정한 세포 소기관을 포함한 세포 분획을 초원심 분리기나 전기영동법 등을 통해 분리하고 조제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얻은 시료를 분획이라 하며, 세포소기관의 분자 구조나 기능 연구에 널리 사용된다. 세포 분획을 위해서는 세포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세포분쇄법, 용액의 농도, 원심분리 조건 등을 결정하여 사용한다.
세포 분획법의 첫 단계는 세포 균질화이다. 생물의 조직을 갈아 부수어 얻은 세포 추출액을 말하며, 세포기관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 균질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때 핵이나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 내 과립이 파괴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균질화는 막자사발, 세제 처리, 기계적 절단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균질화된 세포 추출액을 이용하여 세포 분획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초원심 분리기나 전기영동법 등을 활용하여 세포 구성성분들을 분리한다. 세포소기관의 크기, 밀도, 부유 정도 등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핵과 미토콘드리아는 크기와 밀도가 다르므로 원심분리 조건을 달리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세포 분획은 세포소기관의 기능 및 구조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세포 분획법은 특정 세포소기관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 효과적인 연구 방법이다. 그러나 균질화 과정에서 세포 손상이 발생하거나 분획 과정에서 성분이 변질될 수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온도, pH, 삼투압 등 분획 조건을 최적화해야 한다. 또한 분리된 세포소기관의 순도와 수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원심분리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세포 분획법은 세포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생물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기법이다.
1.2.3. 엽록소 농도 측정을 위한 Arnon's equation
엽록소 농도 측정을 위한 Arnon's equation은 다음과 같다"
Chlorophyll ...
참고 자료
Hiscoz, J.D., Tsraelstam, G.F. (1979) A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chlorophyll from leaf tissue without maceration. p.1332∼1334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6th ed. Chapter 14
David L. Nelson, Michael M. Cox (2010), Principles of biochemistry, 5th ed, 월드사이언스, pp.186-197
Geoffrey M. Cooper, Robert E. Hausman (2013), The Cell-A Molecular Approach, 6th ed, SINAUER, pp. 229-240
James D. Watson (2014), 왓슨 분자생물학, 7판, 바이오사이언스 출판, pp. 32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