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의 특징
1.1. 고령자 입주민의 특징
고령자 입주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공공임대주택에서 고령자 입주민은 일반적으로 중·저소득층으로 이루어진 서민의 고령자들이다. 고령자 가구 중에서 기존에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들은 정년퇴임이나 노화 등으로 인해 소득 증가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제적 여건이 넉넉하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공공임대주택 입주 시점에서 주택 소유 여부와 자산 수준을 고려하여 입주 자격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고령자 입주민을 위해서는 노인들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한 설계가 필요하다. 노인들의 신체 규격은 일반 성인과 차이가 있어 키나 관절 등의 변화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심리적·사회적 특성도 고려해야 하는데, 성격 변화와 지적능력 감퇴, 고독감 등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육시설과 커뮤니티 공간 등의 마련이 중요하다"".
1.2. 장애인 입주민의 특징
공공임대주택의 장애인 입주민은 신체기능 및 정신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장애인 입주민의 절반 이상이 현재 주택에서의 거주에 불만족스러워하는데, 이는 주거생활 중 문턱, 화장실의 손잡이 등 일상생활을 도울 수 있는 시설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특히 노후화된 주택일수록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며, 저소득 계층의 장애인 입주민일수록 장기간 거주하며 주택 환경이 열악한 경우가 많다. 또한 장애인 치료비와 유지비용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원활한 이사가 힘들어 오래된 주택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장애인이 거주하는 공공임대주택은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을 고려하여 편의시설을 충분히 갖추고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2. 공공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복지서비스
2.1. 사례의 선정 및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