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집단상담의 단계
1.1. 초기 단계
집단상담의 초기 단계는 안정되고 신뢰할 수 있는 집단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 단계에서 구성원들은 집단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드러내는데, 제임스와 앤드류의 경우도 이러한 전형적인 초기 모습을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자는 2인 1조로 대화할 기회를 제공하여 구성원을 이해하고 신뢰감을 형성하게 한다.
또한 집단 규범이 1~2회로 생기는 것은 어렵지만, 모든 구성원이 말할 기회를 가지는 것은 집단상담에서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집단 초기부터 모든 구성원이 참여해야 한다는 규범이 형성되도록 시도한다. 구성원들이 자신의 문제를 노출하는 것을 꺼리는 경우에는 자신이 상담과정에 방해가 된다는 생각을 버리고 자신의 문제를 표현하도록 독려한다.
제임스, 제클린의 인종문제나 대런, 제이시, 질의 가족문제 같은 공통된 주제가 상담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제클린이 질에게 느낀 것처럼 공통된 주제가 없으면 소외감이라는 방어기제가 발동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신의 방어기제를 아는 것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그러한 감정도 표현하도록 독려한다.
이처럼 초기 단계에서는 안전하고 신뢰로운 집단 분위기 조성,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 유도, 공통된 주제 찾기, 방어기제 인식 등이 주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2. 전환 단계
전환 단계에서는 신뢰감이 형성되면서 개인적 문제들이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나기 시작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아직 다른 구성원, 집단, 상담자에게 완전한 신뢰감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방어기제인 망설임, 저항, 방어 등에 의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케이시는 작업할 준비가 완료되었지만, 집단이 아직 완전히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하여 자신의 문제를 공유하지 못한다. 그녀는 다른 구성원인 수잔과 제클린이 자신을 오해할 것이라 확신하여 자신의 문제를 드러내지 못한다. 이러한 저항은 자신을 보호하려는 하나의 방어기제이기 때문에, 상담자는 구성원의 저항현상을 무시하기 보다는 그것을 존중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구성원 스스로가 자신의 두려움을 표현하도록 독려하여 그것을 직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따라서 케이시가 자신의 문제를 공유하기 전에 먼저 케이시가 지적한 구성원과 안정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이 자신의 방어기제를 직면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이끌어나가는 것이 전환 단계에서의 주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1.3. 작업 단계
작업 단계에서는 보다 깊은 자기 탐색이 이루어지고 자신이 원하는 변화와 작업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 분명히 알게 된다.""
작업 단계에 들어가기 시작하면 구성원들은 좀 더 개인적인 문제를 다룰 수 있게 된다.""
작업 단계에서는 두 개의 역할극을 수행하는데, 첫 번째 역할극을 하기 전 제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