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쯔쯔가무시 문헌고찰 및 간호진단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대상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쯔쯔가무시
2.1.2. 쯔쯔가무시와 라임병
2.2. 간호사정
2.3. 투약 및 임상검사
2.4. 간호과정
2.4.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2.4.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위험성
2.4.3. 수면부족과 관련된 불안
3. 퇴원계획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쯔쯔가무시는 우리나라 전국에서 매년 수천 명의 환자가 발생 할 정도로 흔한 가을성 열성 질환이다. 늦게 치료가 되는 경우, 또는 고령자인 경우에 쇼크, 호흡부전, 신부전, 의식저하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있으며 치료가 된 후에도 전신 쇠약감, 식욕부진이 수개월간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익숙할 정도로 많이 들었지만 이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번 케이스 스터디를 통하여 쯔쯔가무시에 대해 알아보고 쯔쯔가무시에 걸린 환자를 간호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본 환자를 선정하였다.
1.2. 연구대상
연구대상은 76세 여성 환자 정OO로, 2017년 10월 27일 쯔쯔가무시(scrub (mite-borne) typhus) 진단을 받고 감염내과에 입원한 환자이다. 정OO 환자는 입원 5일 전(10월 18일)에 경북 주왕산을 다녀온 후로 발열, 전신 근육통, 두통,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환자는 기저질환으로 고혈압이 있으며, 약 40년 전 왼쪽 신장 절제술을 받은 병력이 있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쯔쯔가무시
쯔쯔가무시는 Orientia tsutsugamushi라는 리케차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주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이 질병은 주로 여름과 가을철에 발생하며, 진드기가 주요 매개체로 작용한다. 쯔쯔가무시는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및 태국 등지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매년 수많은 사람들이 이 질병에 감염되고 있다.
쯔쯔가무시의 병원체인 Orientia tsutsugamushi는 세포 내 기생 박테리아로, 사람이나 동물의 세포 내에서만 생존 및 증식할 수 있다. Orientia tsutsugamushi는 형태와 구조, 유전자 다양성, 생존 및 전파, 감염 메커니즘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박테리아는 주로 감염된 털진드기(Leptotrombidium spp.)에 의해 사람에게 전파된다.
쯔쯔가무시의 감염 경로는 다음과 같다.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의 피부에 붙어 물면, 박테리아가 피부를 통해 체내로 침투한다. 박테리아는 주로 림프절과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지며, 혈관 내피세포에 침투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환경적으로는 농촌이나 숲과 같은 야외 환경에서 진드기 유충의 ...
참고 자료
신경림 외,『성인간호학』, 현문사(2015)
손정태 외,『기본간호학』, 현문사(2013)
김금자 외,『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2012)
한윤복 외,『간호진단-진단분류의 이론과 실제-』, 현문사(1995)
이은옥 외,『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