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칩 화장품

  • 1
  • 2
  • 3
  • 4
  • 5
  • 6
  • 7
  • 8
>
최초 생성일 2024.11.18
4,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바이오칩 화장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나노바이오기술 현황 및 전망
1.1. 서론
1.2. 왜 나노인가?
1.3. 주요국가의 나노기술 지원 현황
1.4. 나노바이오 르네상스
1.5. 21세기 나노-바이오소사이어티

2. 바이오벤처산업의 현황과 잠재성
2.1. 생물산업이란?
2.2. 생물산업의 국내외 현황 및 문제점
2.3. 생물산업의 향후 유망분야

3. 생물공학
3.1. 생물공학
3.2. 생물공학 산업분야
3.3. 생물공학 시장규모
3.4. 몇 년 후 시장규모

본문내용

1. 나노바이오기술 현황 및 전망
1.1. 서론

첨단 장치를 탑재한 인공위성이 지구의 구석구석을 탐사하여 쉼 없는 전파를 지구로 송신하고 있는 이 시대에 지구상에 완벽한 비밀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나노수준의 초미세 바이오칩이 인공위성처럼 우리의 혈맥을 따라 우리몸의 구석구석을 돌며 pH, 산소용존양, 암세포의 발생, 당뇨의 흔적물질양등 생리지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체외의 모니터에 화상으로 송신한다면 우리의 보건·의료의 실상은 어떤 모습으로 변할것인가? 또한 모공이나 땀샘 직경보다 작은 나노캡슐을 통해 노화방지용 화장품, 항암제, 면역치료제등을 실어서 특정부위에만 전달하는 약물전달시스템(DDS)의 개발은 현재의 의약 및 치료전략을 어떻게 변모시킬 것인가? 항체를 이용한 마법탄환(magic bullet), 지능탄(smart bomb)등이 나노캡슐과 결합될 때 이러한 생각은 그리 먼 얘기는 아니다. 이러한 기술들의 이론적인 바탕은 나노테크놀러지의 기술신대륙에 두고 있다.."


1.2. 왜 나노인가?

나노기술은 물질을 나노수준에서 분석·조작하고 이를 제어하는 과학과 기술을 지칭한다. 1965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파인만(Richard P. Feynman)이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행한 1959년도의 강의 "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ttom(미세 나노세계에 엄청난 잠재력이 있다.)"에서 처음으로 예견된 이래, 나노기술은 거시세계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신비스런 현상들이 발견되면서 발전해왔다.

첫째로, 나노스케일로 내려가면 체적에 비하여 표면적이 커지므로 표면적이 지배하는 예상치 못한 놀라운 과학적 현상들이 나타난다. 둘째로, 거시세계와 나노세계 사이의 정보전달계에 차이가 있어 나노시스템에 탐침을 연결하면 나노시스템의 속성이 변화되며, 정보 전달에 필요한 변환기를 사용할 경우 변환기가 나노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

이처럼 극미세계의 양자 역학에 초점을 맞춘 나노테크놀로지는 기존 과학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21세기 지식기반산업을 개화시킬 꿈의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마치 강철강도의 향상기술(철근)이 2∼3층에 불과했던 기존 건물에서 초고층 빌딩의 건설을 가능하게 했듯이, 나노기술은 재료과학, 생명과학, 정보과학을 융합한 새로운 기술양식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3. 주요국가의 나노기술 지원 현황

주요국가의 나노기술 지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

최근 나노기술은 각국의 가장 첨예한 국책기술로 등장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2001년에 NNI(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를 통해 연방정부에서 4억 2천 3백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고 각 연구지원 기관과 주정부에서도 이와 비슷한 액수로 지원하고 있다. 이들 지원은 기초연구, 원대한 도전 프로그램, 우수 센터·네트웍구축, 연구인프라구축, 나노기술의 사회적연계 강화 및 인력의 교육훈련에 쓰이고 있는데 NNI의 주요멤버인 Mike Roco는 명년에는 7억 1000만 달러가 소요된다고 하였다.

독일의 경우 185억 유로달러를 나노기술에 투자하고 있는데 44억 유로는 산업에서, 나머지는 정부와 연구기관에서 지원된다. 전 유럽에서는 285억 유로가 나노기술 R&D에 주로 투자되고 있다.

중국은 나노텍을 국가의 가장 중요한 기반기술로 보고 국가적인 나노 기반구조와 연구센터를 세우는데 관심을 쏟고 있다. 또한 중국정책은 이 분야를 이끄는 과학자를 발굴하고, 산업정책 보호 및 고무에 치중하고 있는데 중앙정부로부터는 5년 안에 2조원 이상의 자금과 지방정부로부터 대략 2-3조원의 예산을 책정하고 있다. 이에 참여하는 기관은 대학 50교 이상, 연구기관 20개 이상, 그리고 100여개의 기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일본 통산성은 2001년부터 년간 50억 엔 규모의 산학관 공동연구프로젝트를 발족시키고 국립연구소 나노테크 연구센터를 신설하였다. 나노테크에서 일본은 세계 최고 수준을 지니고 있지만, 미국 정부가 나노테크를 정보기술이나 바이오에 이어서 전략분야로 하여 거액의 연구자금을 투입하기 시작한데 대응하여 개발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차원의 나노기술 종합발전계획을 확정하고 향후 10년간 1조 3725억원을 투자하여 나노선진 5개국진입을 도모하고 있다. 3대 추진전략으로 나노연구개발, 인력양성, 시설구축을 목표로 하여 세부로는 34개 나노 주요기술개발과 연인원 13,000명의 나노기술인력 양성 재교육, 및 산·학·연 공동활용 나노 장비 시스템 구축을 위한 나노 fab센터 및 나노타운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국내 나노텍 연구 개발 능...


참고 자료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