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병리사의 역할과 전문 분야
1.1. 임상병리학의 정의와 특징
임상병리학은 기초과학, 기초의학을 사용해서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 소변, 대변, 체액 및 조직 등의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과 경과관찰, 치료 및 예후판정 등에 관련된 검사를 시행하는 학문이다. 즉, 환자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사하여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임상병리학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임상병리학은 임상화학, 임상혈액학, 임상면역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면역혈액학, 수혈의학, 세포유전학, 진단분자유전학, 조직병리학 등 다양한 전문 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를 임상병리학자라고 한다. 임상병리사는 이와 같은 검사업무를 실시하는 전문인이다. 임상병리검사의 주된 목적은 ① 전단 및 감별진단 ② 질병 중동도 및 경과 판단을 동한 치료 결정 ③ 예후 판정 ④ 건강검진이나 선별검사를 통한 질병 발견 or 예방 ⑤ 치료 효과의 추적관찰에 도움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1.2. 임상병리사의 주요 업무
1.2.1. 혈액검사 및 분석
임상병리사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인 '혈액검사 및 분석'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임상병리사는 혈액검사를 통해 질병의 진단, 치료 결정, 예후 판정 등 환자의 건강관리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임상병리사는 혈액 내 세포 성분의 형태, 백분율 및 절대수를 계산하고 혈액 응고인자 검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빈혈, 백혈병 등의 혈액질환과 같은 중요한 진단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한다. 또한 혈청검사를 통해 화학물질, 효소, 단백질, 호르몬 등의 농도를 측정하여 간 기능, 신장 기능 등의 질병 진단에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혈소판 수와 기능 검사, 적혈구 침강 속도 측정, 교차시험 등 다양한 혈액 관련 검사를 진행하여 전신 질환의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한다. 이처럼 임상병리사의 혈액검사와 분석은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화된 혈액 분석기기의 발달로 신속하고 정확한 검사가 가능해지면서, 임상병리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임상병리사는 이러한 첨단 장비를 능숙하게 다루고 정도관리를 수행하여 신뢰할 수 있는 검사 결과를 산출해내야 한다.
또한 유전자 검사와 같은 첨단 기술이 도입되면서 임상병리사는 이를 활용한 새로운 진단법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임상병리사들은 RT-PCR 검사법을 신속하게 도입하여 정확한 진단에 기여했다.
요약하면, 임상병리사의 혈액검사 및 분석 업무는 질병 진단, 치료, 예후 판정 등 환자 진료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첨단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2. 체액 및 세포 검사
체액 및 세포 검사는 인체로부터 채취한 다양한 체액과 조직세포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검사이다. 임상병리사는 체액과 세포 검사를 통해 질병의 진단과 경과 관찰, 치료 효과의 평가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체액 및 세포 검사에는 소변검사, 뇌척수액 검사, 복수 및 삼출액 검사, 혈액 도말 검사 등이 포함된다. 소변검사는 요중의 성분 변화를 통해 신장 및 비뇨기계 질환을 진단하는 데 이용된다. 뇌척수액 검사는 중추신경계 감염이나 염증성 질환, 뇌종양 등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검사이다. 복수 및 삼출액 검사는 복수나 늑막액, 심낭액 등의 성상과 세포성분 분석을 통해 악성 종양이나 결핵, 간경화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혈액 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