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여성건강간호학의 개념과 철학
1.1. 여성건강간호학의 개념
여성건강간호학은 여성의 일생을 통한 전 연령과정의 여성에게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학문으로, 총체적인 인간으로서 여성과 가족의 건강유지, 증진 및 안녕을 관리하고 탐구하는 학문이다"" 사춘기부터 폐경기 이후의 여성(임신가능기간)과 그 가족의 건강관리에 초점을 두며, 가족중심 접근방법과 여성중심 접근방법을 함께 적용한다"" 여성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으로 통합된 존재로 생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가치에 따라 독특한 패턴을 형성하는 불가역적이고 나선형으로 발전한다"" 건강은 여성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적응하고 형성해 나가는 기능적 패턴이며 가치, 신념, 태도, 문화적 전통, 사회적 규범과 생활양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 역동적인 과정이다"" 여성건강간호학은 여성의 성 특성을 중심으로 가족중심, 여성중심의 접근방법을 통해 여성이 자신의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여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여성건강간호학의 철학
1.2.1. 기본철학
여성건강간호학의 기본철학은 실존주의, 여성주의, 포스트모던주의 철학을 근거로 하고 있다"" 여성건강간호학은 이러한 철학적 사조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구조적이고 생의학적인 질병중심에서 실존적인 인간중심의 학문으로 발전해왔다"" 실존주의는 간호학 전반에 영향을 미쳐 간호학이 의학에서 독립하는데 중요한 철학적 기저를 제공하였으며, 질병중심에서 인간중심(인본주의)으로 전환하는데 기여하였다"" 여성주의는 여성건강간호학이 모성간호학에서 확대 발전하는데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자유주의 여성주의는 남녀차별의 원인을 찾는데 초점을 맞추어 여성도 남성과 같은 권리를 갖고자 투쟁하였으며, 급진적 여성주의는 남성위주로 구성된 사회구조와 문화를 혁파하고 여성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지는 사회를 주장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주변적이고 소외계층인 여성에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하여 여성건강간호학의 철학적 기저를 제공하였으며, 여성이 스스로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을 추구한다""
1.2.2. 철학적 배경
여성건강간호학의 철학적 배경은 실존주의, 여성주의, 포스트모던주의 철학에 근거하고 있다.
실존주의는 간호학 전반에 영향을 미쳐 간호학이 의학에서 독립하는데 중요한 철학적 기저를 제공하였다. 실존주의는 질병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전환하는데 기여하였다.
여성주의는 여성건강간호학이 모성간호학에서 확대 발전하는데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자유주의 여성주의는 남녀차별의 원인을 찾는데 초점을 맞추어 여성도 남성과 같은 권리를 갖고자 투쟁하였다. 급진적 여성주의는 남성 위주로 구성된 사회구조와 문화를 혁파하고 여성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지는 사회를 주장하였다. 문화적/포스트모던 여성주의는 남녀차별보다는 남녀차이를 인정하고 남녀가 공존함으로써 여성의 행복과 인류의 행복을 추구하자는 입장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타자(others)중심, 소외계층, 2등 국민(Second people)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을 하여 여성건강간호학의 철학적 기저를 제공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여성이 스스로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여성건강간호학의 철학적 배경은 실존주의, 여성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에 근거하여 여성을 여성의 입장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여성이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알고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다.
2. 여성건강간호학의 역사적 배경과 최신경향
2.1. 여성건강간호학의 역사
여성건강간호학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고대사회에서의 여성간호는 분만의 첫 기록이 BC 1500년 이집트의 벽화에 클레오파트라 여왕이 4명의 시녀로부터 출산의 도움을 받는 내용으로 나타나 있으며, 출산을 돕는 산파의 지위가 상당이 높았고 질 검진과 분만 시 사용했던 물품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 르네상스 이후에는 의학의 발전과 함께 산과 간호학으로서 현대과학의 시대가 열렸으며, 16-17세기에 걸쳐 과학이 발달하면서 산과학이 발달하여 분만 시 사용하는 겸자가 발명되었다. 19세기에는 산욕열이 의사와 간호사의 손에 의해 전파되면서 위생적인 처치의 중요성과 헤가징후, 네겔법칙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
1847년 심슨은 스코틀랜드에서 출산 시 자궁 안에서 태아의 발을 회전시키기 위해 에테르를 사용하여 산과 마취의 첫 기록을 남겼으며, 1906년에는 마가렛 생거가 뉴욕 버클리에서 가족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