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기능별 교육 중 쓰기교육에서 효과적인 피드백 방법에 대한 의견 제시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어 쓰기 교육의 접근법
1.1. 결과 중심 접근법
1.1.1. 특징
1.1.2. 장단점
1.1.3. 교육방안
1.2. 과정 중심 접근법
1.2.1. 특징
1.2.2. 장단점
1.2.3. 교육방안
1.3. 장르 중심 접근법
1.3.1. 특징
1.3.2. 장단점
1.3.3. 교육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어 쓰기 교육의 접근법
1.1. 결과 중심 접근법
1.1.1. 특징
결과 중심 접근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결과 중심 접근법은 주로 1960년대~1970년대 초반까지의 쓰기 교육에서 사용되었으며, 글의 형식을 중요하게 여기는 접근법이다. 교사가 모범이 되는 예시 문장을 제시하고 학습자가 이를 모방하여 쓰거나 베껴 쓰기, 문장을 조금씩 변형하는 연습 등의 통제된 글쓰기 위주로 학습하였다. 이는 나타난 결과 자체를 중요하게 여겨 정확성에 초점을 두었으며, 교사가 학습자의 결과물에 나타난 오류를 적극적으로 수정해 주는 특징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영향을 받았다.""
1.1.2. 장단점
결과 중심 접근법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은 학습 초기 단계에 기본적인 문법 규칙, 따라쓰기, 모방쓰기를 통해 쓰기에 필요한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것이다. 문법과 구문 습득에 중점을 두어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은 학습자들이 문자의 형태와 문법에 초점을 두게 되면서 의미와 문장 연관성의 관계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생기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통제된 학습법으로 인해 학습자의 표현력과 다양한 사고 방식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즉, 정확성 습득에는 도움이 되지만 의미 전달과 유창성 향상에는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1.1.3. 교육방안
결과 중심 접근법의 교육방안은 다음과 같다.
통제 자유 작문 접근법은 문법과 구문 습득을 중요시하며 절이나 문장 단위로 문장의 형태나 시제를 바꿔 쓰게 하는 등 집중적으로 문장 연습을 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정확성 습득에 중점을 둔 방법으로 문자와 어휘, 문법 등의 목표어의 기준을...
참고 자료
내용 피드백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2006). 노혜남.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쓰기 피드백 유형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향상도 연구(2007). 송은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 교육 개론
김가영-(2014) 과정중심접근법 및 결과중심접근법이 학습자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논문(p20,21,35,37)
임성원(2023) - 장르 중심 접근법을 활용한 직업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논문 (p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