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디지털공학 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디지털 시대의 인적자원 개발
1.1. 학습 촉진자
1.1.1. 학습 촉진자의 정의
1.1.2. 학습 촉진자의 역할
1.1.3. 학습 촉진자의 선발기준
1.1.4. 학습 촉진자의 활동
1.2. 교수 설계자
1.2.1. 교수 설계자의 정의
1.2.2. 교육 설계자의 역할
1.2.3. 교육 설계자의 활동과 역량
1.3. 수행 공학
1.3.1. 수행 공학의 정의
1.3.2. 수행 공학의 프로세스
1.3.3. 수행 공학 실제 적용 사례
1.3.4. 수행 공학자
2. 디지털 공학 개론
2.1. 디지털 공학 개념
2.2. 2-입력 부울 함수 개념
2.3. 2-입력 부울 함수 곱셈 구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디지털 시대의 인적자원 개발
1.1. 학습 촉진자
1.1.1. 학습 촉진자의 정의
학습 촉진자의 정의는 '직원들에게 유의미하고 쓰임새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이며, 학습 촉진자는 지식과 업무 경험을 연결하여, 직원들이 새로운 정보를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1.1.2. 학습 촉진자의 역할
HRD의 모든 역할들이 다 중요하지만, 그중에서도 학습촉진자의 역할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학습촉진자로서 HRD 전문가는 직원들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직원들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한다. 동시에 학습 요구를 파악하고, 그 요구에 적합한 학습활동들을 개발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하는 학습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지식, 기능, 역량을 제고하는 교수방법을 선택하며, 학습자의 행동과 태도를 개선시킨다. 마지막으로 학습촉진자는 학습자와 학습활동을 평가한다. 따라서 학습촉진자는 단순히 교과지식의 전문가가 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다. 그는 성인들이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이해해야 하며, 지식, 기술, 역량, 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
1.1.3. 학습 촉진자의 선발기준
학습 촉진자를 선발하기 위한 열 가지 준거가 있다. 중요도 순으로 볼 때 '1. 훈련가가 되고 싶은 욕구, 2. 다른 사람과 관계 맺음을 잘 하는 것, 3. 지적 능력, 4. 업무에서 무엇이 필요한지를 아는 것' 네 가지 준거는 "필수요건"이다. 이 네 가지 준거를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학습 촉진자로 선발되어서는 안 된다. '5. 자신을 변화시키려는 의지, 6. 외향적이고 열정적이며 직관적인 능력, 7. 분석력, 8. 자아인식, 9. 안정감, 10. 경험'이 여섯 가지 준거는 "부수적" 요건이다. 이 준거들을 충족시키면 좋지만, 그렇지 못하다고 해서 학습 촉진자로서 자격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준거들은 학습 촉진자를 선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지만, 조직에서는 어떤 준거들이 조직의 요구에 더 적합한지를 판단해서 그에 따라 선발을 해야 한다"이다.
1.1.4. 학습 촉진자의 활동
학습 촉진자의 활동은 크게 요구사정, 교수활동,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그리고 평가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이다.
먼저 요구사정 단계에서는 질문지, 인터뷰, 초점집단, 공식적 토론 등을 통해 학습 요구를 확인하고 직무요건을 분석한다. 또한 학습활동 전과 후에 업무수행을 평가하여 학습의 효과를 측정하고 향후 수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를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파악된 요구들을 평가하여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교수활동 단계에서는 개인개발을 위한 가장 중요한 활동이 바로 교육하는 일이다. 이는 학습활동을 수행하는 것과 현직훈련을 포함한다. 비공식적 활동은 조직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정보는 공유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주로 경험과 통찰력에 기초한다. 공식적 활동은 특정한 날짜나 시간에 제공되며 모든 직원들에게 똑같이 제공된다.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단계에서는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내용과 훈련 활동, 구조를 설정하고 순서를 결정한다. 그리고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존 프로그램 사용, 외부 프로그램 구입, 또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을 결정하고 필요한 비품과 용품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서는 학습활동이 학습자와 조직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에는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를 설계·개발하고 성취도검사, 적성검사,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일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학습평가, 반응평가, 행동평가, 결과평가가 이루어진다.
종합하면, 학습 촉진자는 요구사정, 교수활동,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그리고 평가의 네 가지 주요 활동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직원들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조직의 성과향상을 지원한다"이다.
1.2. 교수 설계자
1.2.1. 교수 설계자의 정의
교수 설계자는 교수-학습 원리를 기반으로 교수 자...
참고 자료
JERRY W.GILLEY(2005), “인적자원개발론”, 학지사
이상신(2010). 국내 HRD담당자의 e-learning 교수설계자로서의 역량 인식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이강봉(2008). HRD 담당자의 역할과 핵심역량에 관한 인식 연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경희(2008). 대학도서관 지정도서서비스 개선을 위한 수행공학 모형의 적용 사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강경종(2005).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필요 능력. 직업교육연구
이진구(2003).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조직역할 인식유형에 따른 수행공학가로서의 역량 중요성 지각 및 보유 수준의 차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재삼(2006). 수행공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삼성인력개발원(2001). HRD컨설팅 Info 23
이지연(2008). 교수설계자의 수행역량 분석, 교육공학연구
http://loudlove.blog.me/15018709658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24308&cid=531&categoryId=531
M. Morris Mano, "Digital Design", Pearson Education, 5th Edition, 2013.
R. L. Tokheim, "Digital Electronic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McGraw-Hill Education, 8th Edition, 2013.
Thomas L. Floyd, "Digital Fundamentals", Pearson, 11th Edition, 2015.
Charles H. Roth Jr., Larry L. Kinney, "Fundamentals of Logic Design", Cengage Learning, 7th Edition, 2013.
William H. Gothmann, "Digital Electronics: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Practice", Prentice Hall, 2nd Edition,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