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임신 간호과정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임신과 분만
1.1. 정상임신
1.1.1. 임신성 당뇨병
1.1.2. 임신성 고혈압
1.2. 분만
1.2.1. 제왕절개 분만
1.3. 간호과정
1.3.1. 모체와 태아의 안위와 관련된 불안
1.3.2. 임신성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과 관련된 모체손상 위험성
1.3.3.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임신과 분만
1.1. 정상임신
1.1.1. 임신성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은 임신 중기 이후 진단된 당뇨병으로, 임신 전에는 당뇨병이 분명하지 않았던 경우를 말한다. 이는 고위험 임신에 속하며, 주로 임신 중 분비되는 태반 호르몬이 인슐린의 작용을 방해해 발생하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임신성 당뇨병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는 과체중(BMI 25~25.9사이), 비만(BMI 30~40사이), 병적 비만(BMI 40이상), 25세 이상의 임신부, 임신성 당뇨병과 관련된 출산의 내력(신생아 거구증, 임부의 고혈압 등), 지난 임신에서의 임신성 당뇨병, 비정상적인 포도당 내성의 내력, 친족의 당뇨병 내력, 당뇨의 과거력, 비정상적인 콜레스테롤 수치, 혈관질환 등이 있다.
임신성 당뇨병의 병태생리를 살펴보면, 임신은 생리적으로 임부의 내분비활동을 촉진시켜 인슐린의 분비가 증가하지만,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코티졸, 태반락토젠)에 의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저항성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게 된다. 즉, 임부는 더 많은 양의 인슐린을 만들어내야 하지만,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인슐린의 생산과 기능을 방해하므로 혈당량이 증가하게 된다. 정상 임산부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지만, 임신성 당뇨병에 걸린 임산부에게는 이를 극복할 만한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다.
임신성 당뇨병에 걸린 임산부의 약 70%는 증상이 없지만, 일부에서는 갈증, 식사 후 배고픔, 다뇨, 허약감, glycosuria의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선천성 이상을 일으킬 위험은 별로 없다. 다만 잘 조절되지 않으면 임신 3기에 임부의 고혈당증으로 이어져 신생아의 병이나 사망을 초래할 위험이 높다.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은 주로 포도당 부하검사(glucose challenge test, GCT)와 경구 포도당 내성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oral GTT)를 통해 이루어진다. GCT는 24~28주 정도에 시행하며, 혈당이 140mg/dL 이상으로 나오면 oral GTT 검사를 실시한다. oral GTT 검사 시 공복 혈당이 비정상적이거나 1시간 후, 2시간 후, 3시간 후 중 두 번 이상의 수치가 기준을 초과하면 GDM으로 진단한다.
임신성 당뇨병의 치료는 주로 식사 관리, 운동 관리, 혈당 관리, 약물 요법 등으로 이루어진다. 식사 관리에서는 임부와 태아에게 필요한 열량과 영양소를 공급하되, 정상혈당을 유지하고 케톤증을 방지하며 적당한 체중증가를 유도하도록 계획된다. 운동은 10분 간격으로 2-3번 나누어 ...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조동숙 외, 제9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Ⅱ , 현문사(2018), p. 64~131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 Ⅰ 제4판, 현문사(2017), p. 268~327
Sharon Smith Murray, Emily Slone Mckinney, 모성•여성건강간호학 제6판, 정담미디어(2016), p. 130~160
MEG GULANICK, JUDITH L. MYERS,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제8판, 현문사(2016) p. 86, 138, 191
무료 사용 이미지, Pregnancy - Did You Give Birth
https://www.sccpre.cat/show/ibRJbbo_this-free-icons-png-design-of-third-trimester/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P219-220, P310-313
여성건강간호학2/현문사/p.364-372 p492-505, p.526~529
강남미 외, 여성건강간호학 Ⅱ, 학지사 메디컬, 2019, p. 364-372 p492-505, p. 526~529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