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개요
1.1. 태반(placenta)
태반은 착상 시부터 형태가 시작되며, 모체와 태아의 혈액이 섞이지 않도록 융모간강을 형성하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반은 임신 12주 이후에 완성되며, 임신 20주에는 자궁표면의 반 정도를 덮을 정도로 지속적으로 커지며 두껍게 성장한다"."
태반은 내분비 기능, 대사 기능, 면역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호르몬 생산 기능을 통해 수정 후 8~10일부터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hCG)을 분비하고, 임신 60~70일경에 최고치를 보인 후 점점 떨어져 산후 1주일에 사라진다"." 또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임신 유지를 돕는다"." 대사 기능으로는 산소, 영양분, 이산화탄소, 대사 산물 등을 교환하며, 면역 기능은 모체의 감마글로블린을 태아에게 전달하여 초기 수동 면역을 제공한다"."
종합하면, 태반은 임신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하여 태아 발달과 임신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2. 전치태반(placenta previa)
전치태반(placenta previa)은 정상태반은 90% 정도가 자궁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 태반이 자궁하부에 부착되어 자궁경부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태이다."
전치태반의 원인은 다산부, 다태아, 35세 이상의 고령부, 이전 전치태반 병력, 터울이 짧은 임신(3년 이내), 당뇨, 고혈압, 흡연 등이다."
전치태반은 모체와 태아에게 많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모체에게는 출혈, 대반부착이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태아에게는 조산, 자궁내 저산소증, 선천성 기형, 자궁내 성장지연, 저체중아, 발달장애 등의 위험성이 높다."
전치태반은 대부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주요 임상적 특징은 20주 이후에 나타나는 무통성 질출혈이다."
전치태반의 치료는 태아의 임신기간과 모체의 출혈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태아가 36주 미만이고 출혈이 적거나 분만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 보존요법을, 태아가 36주 이상이고 출혈이 많거나 감염이 있는 경우 분만(질식분만 또는 제왕절개)을 시행한다."
1.3. 전치태반 관련 약물
전치태반 관련 약물에는 다음과 같은 약물이 있다.
Ritodrine은 베타-2 교감신경작용제로, 자궁수축을 억제하여 조기진통을 억제하는데 사용된다. 초기량 0.05mg/min을 정맥 내 주입하고, 10분 간격으로 0.05mg/min씩 증량하여 자궁수축이 멈추거나 모체의 심박동수가 120회/min에 이르면 투여를 중단한다. 최적 유효용량은 0.15-0.3mg/min이다. 부작용으로는 심계항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