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욕창상처사정 기록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욕창의 정의와 단계
2.1. 욕창의 정의
2.2. 욕창의 단계
3. 욕창 사정
3.1. 브레이든 척도
3.2. 욕창치유척도
4. 욕창 예방
4.1. 압력 감소
4.2. 영양 관리
4.3. 습기 조절
4.4. 피부 관리
4.5. 체위 변경
5. 욕창 관리 및 드레싱
5.1. 하이드로 콜로이드 드레싱
5.2. 하이드로젤 드레싱
5.3. 하이드로 파이버 드레싱
5.4. 칼슘 알지네이트 드레싱
5.5. 폼드레싱
5.6. 투명필름 드레싱
5.7. 국소음압치료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욕창은 뼈 돌출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이나 전단력의 작용으로 인해 피부 및 피부 아래 조직이 국소적으로 손상되는 상태이다. 주로 와상 환자, 노인 환자, 만성질환자 등에서 발생하며 감염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입원기간 연장, 의료비 증가, 사망률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정확한 욕창 사정과 예방,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문서에서는 욕창의 정의, 단계, 사정 방법, 예방 및 관리 전략 등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욕창의 정의와 단계
2.1. 욕창의 정의
욕창은 "뼈 돌출부위, 의료기기에 지속적인 압력이나 전단력 작용의 결과로 피부 및 피부아래 조직이 국소적으로 손상이 되거나 없을 수 있음"이다. 즉, 장기간 동안 압박이나 전단력에 의해 피부와 피부 아래 조직이 국부적으로 손상되는 상태를 말한다. 주로 움직이지 못하거나 오랫동안 침대나 휠체어에 누워있는 환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피부와 근육, 뼈 등의 깊이에 따라 단계를 구분하며, 초기에는 피부 발적부터 시작하여 궤양 형성, 근육과 뼈 노출 등 단계가 진행될수록 심각해진다.
2.2. 욕창의 단계
욕창의 단계는 총 6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일반적으로 뼈 돌출부에 비창백성 홍반, 발적(non-blanchable redness)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이는 모세혈관의 폐쇄로 인한 혈류 장애를 의미한다. 또한 통증, 부드러운 질감, 주변조직에 비해 따뜻하거나 차가운 증상이 관찰될 수 있다"
2단계는 표피뿐만 아니라 진피에서도 부분적인 손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붉은색을 띠며 부육이 없는 얕은 궤양이나 장액성 수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멍이 있는 경우 더 심각한 심부조직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다"
3단계는 피부와 진피는 물론 피하조직까지 손상된 단계이다. 피하조직이 관찰되나 근육, 건, 뼈는 노출되지 않으며 괴사조직 및 사강이 존재할 수 있다"
4단계는 근막 이하의 조직이 손상된 단계로, 근육이나 건, 뼈 등이 노출되며 괴사조직 및 사강이 존재할 수 있다"
미분류 욕창은 전층 피부손상 상태이나, 상처기저부가 괴사조직으로 덮혀 있어 조직손상의 깊이를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심부조직 손상 의심 단계는 피부의 일부분이 보라색이나 적갈색으로 변색되어 있거나, 혈액으로 찬 수포가 나타난 상태로, 주변 조직에 비해 단단하거나 물렁거리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체온의 변화도 있을 수 있다. 이 단계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처가장자리의 경계가 분명해지면서 미분류 욕창으로 변화하고, 결국에는 3단계, 4단계 욕창으로 될 수 있다"
3. 욕창 사정
3.1. 브레이든 척도
브레이든 척도는 욕창을 예방하거나 피부 통합성이 손상된 환자를 사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 척도는 감각인지도, 습기, 활동, 운동성, 영양 상태, 마찰과 전단력의 여섯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1~4단계로 중증도를 평가한다. 총점의 범위는 6~23점이며, 점수가 낮을수록 욕창 위험성이 높다. 19~23점은 욕창 위험성이 없는 수준이지만, 9점 이하는 최고 위험 수준으로 간주된다. 이처럼 브레이든 척도는 욕창 발생 위험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성이 검증된 도구이다.
3.2. 욕창치유척도
욕창의 치유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욕창치유척도(Pressure Ulcer Scale for Healing, PUSH Tool)가 사용된다"" 이 도구는 욕창의 크기, 삼출물의 양, 조직유형의 세 가지 항목을 평가하여 점수화한다"" 각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내며, 총점이 낮을수록 욕창이 잘 치유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욕창의 크기는 길이와 너비를 곱하여 계산하며, 0~10점으로 평가한다"" 삼출물의 양은 없음(0점), 적음(1점), 중등도(2점), 다량(3점)으로 평가한다"" 조직유형은 폐쇄(0점), 상피화(1점), 육아조직(2점), 괴사조직(3점), 검은색 괴사조직(4점)으로 구분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이렇게 세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면 최저 0점에서 최고 17점의 범위를 가지게 된다""
욕창치유척도는 욕창 치료과정에서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상처 치유 정도와 병변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치료 효과를 판단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할 수 ...
참고 자료
권은옥, 엄인향, 장선주, 심미영, 이수희. (2012). 간호사의 입원환자 욕창 사정에 대한 정확성. 임상간호연구, 18(1), 29-31.
정수연, 박민아 and 문경자. (2022). 욕창 예방 및 치료 장치의 효과: 주제범위 문헌고찰. 성인간호학회지, 34(2), 123-124.
김정윤, 박경희, 박옥경, 박주희, 이윤진, 황지현. (2023). 근거기반 욕창간호 실무지침 개정. 임상간호연구, 29(1), 12-13.
김명옥(2020). 척수 손상 후 욕창의 예방과 치료. J Korean Med Assoc, 63(10), 623-632
병원간호사회. 욕창 및 상처장루간호.
http://www.khna.or.kr/homecare_new/04_nerve/chronic01_02.php. 2023.11.11
윤은자‧김숙영‧서연옥 외 공저, 2021년, 수문사, 9판 개정 성인간호학Ⅰ‧Ⅱ
송경애 외 지음, 2021년, 수문사, 기본간호학Ⅰ‧Ⅱ
박은영 외 편역, 2023년, 현문사, 10TH EDITION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2022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간호과정 실무지침
이은희‧김유정‧안지원 외 공저, 2021년, 고문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