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1.1. 정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은 성인 급성 백혈병 중 가장 흔한 형태로서 급성 백혈병의 85%를 차지한다. 인체 골수조혈세포 중 골수구에 초기 분화세포의 암적인 변이로 이들의 비정상적인 과도한 분열과 골수 내 축적으로 말초혈액에 골수아세포(myeloblast)가 나타나고 이들로 인해 각 조직이 침범되며 결국 정상적인 골수기능의 마비로 심각한 면역기능 저하로 환자가 사망하는 급성질환이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급성 골수세포 백혈병, 급성골수아구성 백혈병,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이라고도 한다. 증상 발현은 골수가 정상 조혈세포 대신 백혈병적 골수아구로 대치되고 또 이들 세포가 신체 다른 장기에 침윤됨으로써 나타난다.
1.2. 분류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은 FAB(French-American-British) 분류상 M0부터 M7까지 8가지 형으로 구분된다"".[1,2]
AML M0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며, AML M1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일종이다"".[1,2]
AML M2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한 유형으로, 본 사례의 대상자가 이에 해당한다"".[1,2]
AML M3는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으로, 심각한 출혈과 DIC(파종성 혈관 내 응고장애)가 동반되며 ATRA(all-trans retinoic acid)로 관해 유도가 가능하다"".[1,2]
AML M4는 급성 골수단핵구성 백혈병이며, M4E는 예후가 M4dp에 비해 양호하다"".[1,2]
AML M5는 급성 단핵구성 백혈병으로, 잇몸비대, 피부침윤, 기타 골수외 조직침윤이 흔하고 관해율이 약간 저조하다(M5a, M5b)"".[1,2]
AML M6은 급성 적혈구성 백혈병이며, AML M7은 급성 거핵구성 백혈병으로 골수섬유화증이 동반되고 항암치료 반응이 저조하다"".[1,2]
1.3. 원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원인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다양하며, 반드시 한 가지 확실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부분 특이한 암 유전자 이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려진 원인으로는 방사능 피폭, 벤젠, 톨루엔, 항암제 등의 발암 물질에의 노출이 주요 원인으로 제기된다. 최근에는 전자기파의 영향이 원인이 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확실한 연관성을 증명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비교적 가족성 질환의 경향을 띠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발병원인은 다양한 발암물질 및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발병기전과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1.4. 증상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증상은 크게 정상적인 혈액세포를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과 백혈병세포가 증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상 백혈구는 세균과 이물질에 대해 몸을 지키는 기능을 하며, 적혈구는 몸 전체로 산소를 운반한다. 혈소판은 출혈을 멎게 하는 기능을 한다. 급성골수성백혈병에 걸리면 이들 정상세포가 감소하여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정상 백혈구감소에 의한 증상으로는 잘 낫지 않는 감염증(구내염, 폐염, 요로감염), 원인불명의 발열 등이 있다. 적혈구감소(빈혈)에 의한 증상으로는 안면 창백, 호흡곤란, 동계, 전신권태감 등이 있다. 혈소판감소에 의한 증상으로는 피하출혈, 점막출혈, 치육출혈, 소화관출혈, 성기출혈, 뇌출혈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백혈병세포의 증식에 따라 간장과 비장이 커지거나, 뼈와 관절에 통증이 생기거나, 잇몸이 붓거나 전신에 종괴(뾰루지 같은 것)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급성골수성백혈병 자체가 갖는 특징적인 증상은 없다.
1.5. 진단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진단은 혈액검사와 골수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우선 혈액검사(말초 혈액검사)를 통해 각종 혈액세포의 수를 측정하고, 이상 세포의 유무를 확인한다. 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