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역사란 무엇인가 6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역사란 무엇인가
1.1. 역사의 본질과 역사가의 역할
1.2. 역사의 주관성과 역사 해석의 다양성
1.3. 역사적 사실의 선택과 구성
1.4. 역사가의 편견과 해석의 변화
2. '역사란 무엇인가'의 주요 논점
2.1. 역사가와 역사적 사실의 관계
2.2. 역사 해석에 대한 사회적 환경의 영향
2.3. 역사와 과학, 도덕의 관계
2.4. 역사 이해에 있어 인과관계와 우연성
2.5. 역사 발전의 개념과 문제
3.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의 모색
3.1. 역사 편찬 과정에서의 역사가의 역할
3.2. 역사 이해와 해석의 다양성 존중
3.3. 역사와 현재, 미래의 관계 탐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역사란 무엇인가
1.1. 역사의 본질과 역사가의 역할
역사의 본질과 역사가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역사는 역사가와 그의 사실 간 끊임없는 상호작용이며, 과거와 현재 사이의 끝나지 않는 대화이다. 역사가는 과거의 사실을 선택하고 구성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편견과 해석을 개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역사는 결코 객관적일 수 없으며, 역사가의 주관성이 반영된 해석의 산물이다.
역사가는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선별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는 자신이 속한 사회와 시대의 가치관과 편견에 영향을 받아 특정한 사건과 사실을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선택한다. 또한 그 선택된 사실들을 자신의 관점과 해석에 따라 조직화하고 배열한다.
즉, 역사가는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의 상호작용 속에서 역사를 구성해 나가는 주체적인 존재이다. 역사가의 편견과 해석은 역사적 서술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역사가 자신의 이러한 역할을 인식하고 성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역사의 주관성과 역사 해석의 다양성
역사의 주관성과 역사 해석의 다양성은 역사를 바라보는 카의 핵심적인 관점이다. 카에 따르면 역사는 단순히 객관적인 사실들의 집합이 아니라, 역사가에 의해 주관적으로 해석되고 구성되는 것이다.
역사가는 자신의 편견과 관점에 따라 과거의 사실을 선택하고 해석하기 때문에, 역사에는 필연적으로 주관성이 개입된다. 카는 19세기 역사가들이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세계관을 가지고 과거의 사실을 객관적으로 재현하고자 했던 것을 비판한다. 그는 역사적 사실 자체가 주관적인 선택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루비콘 강을 건넌 사람이 수백만 명에 달했지만 역사에 기록된 것은 단 한 명, 즉 율리우스 카이사르뿐이다. 이는 역사가들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사실만을 선별적으로 기록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카는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강조한다. 역사가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적, 문화적 배경에 따라 과거를 다르게 바라보고 해석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도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국의 휘그당 계열 역사가 트레벨리언의 '앤 여왕시대의 영국'은 휘그당의 전통을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역사가의 소속과 관점에 따라 역사 해석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카는 역사의 객관성을 부정한다. 그는 역사가들이 자신의 편견과 관점에 따라 과거를 선택하고 해석하기 때문에, 완전한 객관성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본다. 대신 그는 역사가와 역사적 사실 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강조한다. 역사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며, 새로운 해석과 관점이 계속해서 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카의 역사관은 객관성에 대한 회의와 역사 해석의 다양성을 핵심으로 한다. 이는 기존 역사학의 실증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이자, 역사가의 주관성을 인정하고 역사 해석의 다원성을 인정하는 새로운 역사관의 제시라고 볼 수 있다.
1.3. 역사적 사실의 선택과 구성
역사적 사실의 선택과 구성은 역사가의 주관적 편견이 개입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카는 역사가들이 자신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과거의 사건들만을 선택하여 역사적 사실로 구성하며, 이 과정에서 역사가의 편견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카에 따르면, 과거에 일어난 수많은 사건 중 역사가들은 그들이 의미 있다고 판단하는 사건들만을 골라 '역사적 사실'로 구성해 나간다. 예를 들어 카는 루비콘 강을 건넌 사람이 실제로는 수백만 명이었지만, 역사적으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강 건너기만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기록되었다고 지적한다. 즉, 역사가들은 과거의 모든 사실들을 동등하게 다루지 않으며, 자신들의 관심사와 편견에 따라 특정 사실들을 선별하여 역사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카는 역사가들이 선별한 역사적 사실들을 해석하고 조직화하는 과정 또한 주관적이라고 본다. 역사가들은 자신의 사회적 배경과 가치관, 당대의 지배적인 역사 해석 등에 따라 과거의 사실들을 재구성하고 의미를 부여한...
참고 자료
Carr, E. H. (1990). What is history?, 2nd edition. London, England: 까치출판사
Collinwood, R. G, and Dussen J (ed). (1994). The idea of history, Revised edition.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Elton, G. R. (2002). The practice of history, 2nd edition. Oxford, England: Blackwell Publishing Ltd.
Evans, R. J. (2000). In defence of history. London, England: Pearson Education Ltd.
Tosh. J. (2000). The pursuit of history. 3nd edition. Harlow, England: Pearson Education Ltd
Trevelyan, G. M. (1947). 'Bias in History'. History, vol. 32, no. 115, March, pp.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