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 서혜부 탈장 케이스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혜부 탈장 수술 사례 연구
1.1. 서혜부 탈장의 정의 및 유형
1.2. 서혜부 탈장의 원인 및 병태생리
1.3. 서혜부 탈장의 증상 및 진단
1.4. 서혜부 탈장의 외과적 치료
1.5. 서혜부 탈장 수술 환자의 간호
1.5.1. 수술 전 간호
1.5.2. 수술 중 간호
1.5.3. 수술 후 간호
2. 수술실 실습 사례
2.1. 수술 환자의 기초 정보
2.2. 수술 전 환자 처치 및 간호 상태 확인
2.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2.3.1. 순환 간호사의 역할
2.3.2. 소독 간호사의 역할
2.4. 마취 과정 및 간호
2.5.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약물
2.6. 수술에 사용되는 물품
2.7. 간호 과정 적용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혜부 탈장 수술 사례 연구
1.1. 서혜부 탈장의 정의 및 유형
탈장(hernia)이란 장기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복막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것으로 복강 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이는 복벽이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탈장은 크게 간접 서혜 탈장, 직접 서혜 탈장, 대퇴 탈장, 배꼽 탈장, 절개 탈장으로 나뉜다.
간접 서혜 탈장은 가장 흔한 형태이며 선천적으로 재태기간 중에 고환하강의 미완성으로 인해, 서혜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한 상하부 서혜륜이 폐쇄되지 못함으로 인해 결국 서혜관을 통과하여 정상을 따라 내장이 탈장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직접 서혜 탈장은 대퇴 탈장이나 간접 서혜 탈장처럼 관을 통해 일어나지 않고 복벽 근육층의 약해진 부분을 통하여 내용물이 돌출되어 나온 것이다.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복벽의 근육이 갖고 있는 섬유의 수가 선천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점차적으로 약화되어 발생하게 된다.
대퇴 탈장은 대퇴륜을 통해 생기는 것으로 남성보다 여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배꼽 탈장은 복압의 증가에 의해 발생하며, 보통 비만한 환자와 임신 경험이 많은 여성에서 발생한다. 절개 탈장은 수술 후 감염, 부적적한 영양, 과도한 팽만이나 비만과 같은 문제 때문에 잘 치유되지 않은 수술 절개 부위에서 발생한다.
1.2. 서혜부 탈장의 원인 및 병태생리
서혜부 탈장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서혜부 탈장은 근육벽의 통합성 결함과 복부내압의 증가로 발생한다. 노화 과정에서 근육이 쇠약해지고, 비만이나 근력이 약한 경우 복부내압이 증가하여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탈장낭의 내용물은 손으로 조작하여 복강 내로 밀어넣을 수 있는 환원성 탈장과, 밀어넣을 수 없는 비환원성 탈장으로 구분된다.
감돈탈장이 되면 탈장륜에 압력이 가해져 결국 장의 혈액공급이 차단되어 장이 꼬이는 염전(꼬임)탈장이 된다. 이 경우 꼬인 장 부분의 혈액 공급이 부족하여 괴사되므로 응급 수술이 필요하다.
간접 서혜 탈장은 가장 흔한 유형으로, 태아기에 고환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하부 서혜륜이 폐쇄되지 않아 서혜관을 통해 내장이 탈출되어 발생한다. 직접 서혜 탈장은 복벽 근육층의 약한 부분을 통해 내용물이 돌출되어 발생하며, 대퇴 탈장은 대퇴관을 통해 발생한다. 배꼽 탈장은 복압 증가로 발생하고, 절개 탈장은 수술 후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서혜부 탈장은 복벽의 결함과 복압 증가가 주요 원인이며, 탈장낭의 내용물 및 누출 정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1.3. 서혜부 탈장의 증상 및 진단
서혜부 탈장의 증상 및 진단은 다음과 같다.
서혜부 탈장은 복벽의 결함 부위 또는 횡격막이나 복강 내에 있는 어떠한 구조물을 통해서도 돌출될 수 있으며, 탈장된 부분은 불룩하게 돌출되기도 하고 기침,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거나 배에 힘을 준 후에는 덩어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돌출된 것은 누우면 사라졌다가 일어나면 다시 나타나기도 하며 탈장이 꼬이게 되면 장 폐색을 초래하여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그 외 오심, 구토, 복부팽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병력이나 신체검진(촉진)을 통해 알 수 있으며 탈장낭은 촉진 시 부드러운 결절이나 박동성 움직임으로 느껴진다. 이와 같이 촉진이 되면 복부 초음파나 CT를 진행하여 정확하게 확인한다.""
1.4. 서혜부 탈장의 외과적 치료
서혜부 탈장의 외과적 치료는 약해진 부분에 작은 절개를 하여 장을 복강 안으로 되돌린 후 탈장낭을 제거하고 근육을 단단하게 봉합하는 탈장 봉합술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서혜부 탈장의 경우 척추마취나 국소마취 하에 시술하며 근육이 장을 지지할 만큼 충분하지 못하여 시술이 어려운 경우에는 탈장 부위를 재강화하기 위해 그물 이식술(mesh grafts)을 실시한다"" 실제로 본 사례...
참고 자료
국제간호진단협회, 고일선 외 옮김,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 2018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Ⅰ』, 메디컬사이언스, 2019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Ⅱ』, 메디컬사이언스,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아홉번째판』, 수문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19
이원일 외, 『Prolene Hernia System을 이용한 성인 서혜부 탈장의 임상적 분석』, 「대한외과학회지 제79권 제2호」, 대한외과학회, 2010.08, 137-142
임근형 외, 『성인의 서혜부 탈장』, 「대한외과학회지 제40권 제3호」, 대한외과학회, 1991.03, 360-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