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피터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피터팬 이야기
1.1. 피터팬의 등장과 특징
1.2. 피터팬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피터팬 증후군
1.3. 피터팬 영화와 소설의 내용 및 결말
1.4. 피터팬 컴플렉스의 의미와 사례
2. '피터팬 죽이기' 소설 분석
2.1. 소설의 줄거리와 주요 등장인물
2.2. 주인공의 과거 경험과 현재 상황
2.3. 소설 속 '피터팬' 이미지와 의미
2.4. 현실과 꿈, 성장의 문제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피터팬 이야기
1.1. 피터팬의 등장과 특징
피터팬은 제임스 매튜 배리의 동화 '피터 팬과 웬디'에서 처음 등장한 캐릭터이다. 피터팬은 자라지 않는 아이로, 네버랜드라는 신비의 섬에 살면서 영원한 아이로 남아있기를 원한다. 피터팬은 숲속에서 살면서 나무와 조류와 함께 살아가며, 가장 특징적인 것은 날개가 없는 자신의 신체로 자유롭게 하늘을 날아다닐 수 있다는 것이다. 피터팬은 아이들과 함께 즐겁게 모험을 떠나며, 늘 어린아이의 순수함과 모험심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자신은 어른이 되기를 거부하며, 어른들의 세계에 대한 적대감을 보인다. 피터팬은 자신의 그림자를 찾기 위해 웬디의 집을 방문하면서 이야기가 전개되며, 웬디와 함께 네버랜드로 가서 다양한 모험을 펼치게 된다. 이러한 피터팬의 모습은 영원한 청춘을 동경하는 인간의 보편적 심리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피터팬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피터팬 증후군
피터팬은 자라지 않는 아이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어린이와 같은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에 따르면, 피터는 주로 3단계인 학년전기의 모습을 보인다. 이 단계에서는 아동의 언어적, 신체적, 지적 능력을 이용하여 어떤 일을 스스로 기획하고 실천하는 능력인 주도성이 나타난다. 네버랜드 안에서 스스로 규칙을 설정하고 즐거운 놀이를 하는 피터에게서 이러한 특징을 잘 볼 수 있다.
하지만 피터는 발달 단계의 이전 단계에서 건강한 자아상을 형성하지 못했다. 1단계인 수유기에서 양육자에 대한 신뢰를 쌓지 못했다. 소설에서는 피터가 어머니가 자신을 잊었다는 배신감을 겪었다고 나온다. 이로 인해 1단계 신뢰감과 불신감에서 불신감이 먼저 형성된 것이다. 피터는 이러한 불신감을 극복하지 못하고, 이후 단계로 발달하지 못한 채 성인이 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피터의 심리사회적 발달이 정체된 모습은 "피터팬 증후군"이라는 증후군으로 이어진다. 피터팬 증후군은 몸은 성인이 되었지만, 성인이 되기를 거부하고 어린이나 소년이 되기를 원하는 심리상태 또는 행동을 말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책임감이 없고, 항상 불안해하며, 현실에서 도망쳐 자기만의 ...
참고 자료
영화 <피터팬> (2003), P.J.호건
책 <피터 팬과 웬디> (2014), 제임스 매튜 배리 / 박중서 역
책 <피터와 앨리스와 푸의 여행> (2017), 곽한영
영화속아동청소년심리학, 2주차 강의 자아개념
피터팬 증후군,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