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팜유플랜테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바이오디젤의 이해
1.1. 화석연료 고갈과 대체에너지 필요성
1.2. 바이오디젤의 정의 및 특성
1.3. 바이오디젤의 역사
1.4. 국내외 바이오디젤 시장 현황
2.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2.1.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
2.2. 주요 원료와 특성
2.3. 바이오디젤 생산 촉매 기술
2.4. 바이오디젤 정제 기술
3. 바이오디젤의 경제성 및 환경성
3.1. 바이오디젤의 경제적 측면
3.2. 바이오디젤의 환경적 측면
3.3. 바이오디젤의 사회, 문화적 영향
4. 바이오디젤 산업의 전망과 과제
4.1. 바이오디젤 산업의 향후 전망
4.2. 바이오디젤 산업의 보완 과제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바이오디젤의 이해
1.1. 화석연료 고갈과 대체에너지 필요성
현재 주요 동력원인 화석연료는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어 향후 사용 가능한 잔존기간이 석유는 40년, 석탄은 155년, 천연가스는 65년 정도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세계 인구 증가와 중국, 인도 등 신흥 에너지 소비 대국의 등장으로 에너지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원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체에너지에는 원자력 에너지, 태양열 에너지, 수소 에너지, 바이오디젤 등이 있으며, 그 중 바이오디젤은 식물이나 동물에 있는 지방성분을 경유와 비슷한 물성을 갖도록 가공하여 경유를 대체하거나 경유에 혼합하여 디젤엔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바이오디젤은 화석연료의 고갈과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1.2. 바이오디젤의 정의 및 특성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오일과 알코올을 화학반응시켜 만든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바이오디젤은 석유계 디젤과 유사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 디젤 엔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석연료의 고갈과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이오디젤은 일반 경유에 비해 황 성분이 거의 없어 대기오염 물질 배출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용기나 저장시설 등에 유출되어도 생분해성이 좋아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바이오디젤은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1.3. 바이오디젤의 역사
바이오디젤의 역사는 1895년 Rudolf Diesel이 개발한 디젤 엔진으로부터 시작된다. 당시 디젤 엔진의 연료로는 지금의 석유 기반 경유가 아닌 땅콩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 사용되었다. 1900년 파리 세계 박람회에서 선보인 디젤 엔진은 이후 계속해서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고, 특히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그 수요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저렴한 연료가 필요해지면서 석유로부터 식물성 연료와 동일한 물성을 가지는 경유가 생산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비싼 청정 연료인 바이오디젤은 점차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바이오디젤은 2차 세계대전 시기 남아프리카에서 일부 사용되었으며, 이후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1991년 유럽연합은 바이오디젤을 포함한 바이오 연료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관세 감면 정책을 펼쳤으며, 미국에서는 1997년부터 대규모 바이오디젤 생산 시설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바이오디젤의 주요 원료는 콩기름, 폐식용유, 동물성 지방 등이었다.
국내에서는 2002년 월드컵 개최를 계기로 바이오디젤, LNG 등의 경유 대체 연료 도입이 추진되기 시작했다. 2002년 5월부터 수도권과 전라북도의 주유소에서 바이오디젤 20% 혼합 연료의 시범 보급이 시작되었으며, 정부는 바이오디젤 사용 비율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다.
1.4. 국내외 바이오디젤 시장 현황
국내외 바이오디젤 시장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전세계적으로 바이오디젤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2003년 기준 전 세계 바이오디젤 생산량은 약 20억 리터 수준이었으나, 2019년에는 약 400억 리터까지 증가했다. 이는 경유에 대한 수요 증가와 더불어 정부 정책 지원에 힘입은 바가 크다. 특히 유럽연합, 미국, 브라질 등 주요 선진국들은 바이오디젤 보급 확대를 위해 정책적 인센티브 등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2년부터 바이오디젤 도입을 위한 시범 사업을 추진해왔다. 정부는 청정 연료인 바이오디젤의 보급 확대를 위해 2002년 5월부터 서울·경기, 전라북도 등 일부 지역에서 바이오디젤 20% 혼합유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후 2006년 7월부터는 전국적으로 바이오디젤 혼합유 보급이 확대되었다. 2021년 기준 국내 바이오디젤 시장 규모는 약 15만 톤 수준이며, 이는 전체 경유 소비량의 약 2% 수준이다. 주요 원료는 폐식용유와 팜유 등이 활용되고 있다.
정부는 향후 바이오디젤 보급을 지속 확대하여 2030년까지 경유 소비량의 5%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바이오디젤 원료 다변화, 생산 기술 고도화, 인프라 구축 등 다각도의 정책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폐식용유 외에도 자트로파, 유채 등 비식용 원료 개발을 통해 안정적인 원료 수급을 모색하고 있다.
종합하면,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디젤 시장은 지속 확대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 역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 하에 바이오디젤 보급이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2.1.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은 크게 트랜스에스...
참고 자료
http://myhome.hhu.ac.kr/seokwangwon/, 한국해양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전공
http://www.bera.or.kr/bio/disel/content.asp, 바이오에너지 기술 연구회
강명구․김재현, <바이오디젤>, 오토저널, 27(2), 12-20(2005)
Chemical Business News, <석유시장에 부는 ‘바이오’ 바람의 득과 실>, 2008.4.21
http://blog.naver.com/ycin6306?Redirect=Log&logNo=90031678748
http://cafe.naver.com/koreafarm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41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025837
김화년, 애그플레이션 시대의 식량인보
<국내에너지시장동향 2002년 6월>, 에너지경제연구원
<심층정보분석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바이오디젤 시범보급사업에 대한 제언 KEEI 2002. 7. 22.>, 에너지경제연구원
http://www.bera.or.kr, 바이오에너지 기술연구회
http://www.ecosol.co.kr/bio/main.asp?bio=05, (주)에코솔루션
·정영규 , 2003, 동남아시아 경제의 이해, 다해
·김수일 편저, 1999, 세계속의 인도네시아,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삼성경제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seri.org)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kiep.go.kr)
·주인도네시아대사관, 홈페이지(http://www.mof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