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퀴즈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4.11.17
5,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 퀴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진 예방 및 대응
1.1. 지진의 정의와 특성
1.1.1. 지진의 원인
1.1.2. 지진의 규모와 진도
1.2. 지진 발생 추이
1.2.1.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 현황
1.2.2. 세계적 지진 발생 동향
1.3. 지진의 피해
1.3.1. 1차 피해
1.3.2. 2차 피해
1.4. 지진 대피 요령
1.4.1. 장소별 대피 요령
1.4.2. 지진 대피 교육 활동
1.5. 지진 사전 예방 활동
1.5.1. 시설물 안전 점검
1.5.2. 가정 내 대비 방법
1.6. 지진 대응 체계 및 정책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진 예방 및 대응
1.1. 지진의 정의와 특성
1.1.1. 지진의 원인

지진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지구 내부의 열적 불균형으로 인한 지각 운동이다. 지구 내부의 열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 열로 인해 지구 내부의 물질이 움직이게 된다. 특히 지구 내부의 맨틀과 핵 사이에서 대류 운동이 일어나면서 지각이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지각판이 충돌하거나 분리되면서 지진이 발생한다. 둘째, 화산 활동으로 인한 지진이다. 지구 내부의 화산 활동은 지각을 약화시키고, 마그마의 이동과 파열 과정에서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 화산 활동이 활발한 태평양 연안 지역에서는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1.1.2. 지진의 규모와 진도

지진 규모와 진도는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가지 다른 측정 방법이다. 지진 규모는 지진이 발생한 진원에서 측정되는 지진의 규모로, 리히터 규모(Richter scale)라고도 알려져 있다. 리히터 규모는 진원에서 측정되는 지진 규모의 절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로그스케일이다. 규모가 1 높아질수록 지진의 규모는 약 31.6배 증가한다. 즉, 규모 6.0의 지진은 규모 5.0 지진보다 약 31.6배 더 큰 지진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진도(Intensity)는 진앙지로부터의 거리와 지반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지진의 강도를 나타낸다. 진도는 지진의 피해 정도를 나타내며 관찰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결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개정 메르칼리 진도 척도(Modified Mercalli Intensity Scale, MMI)를 사용하여 진도를 표현한다. 이 척도에 따르면 진도 I은 감지되지 않는 수준의 지진부터 진도 XII는 대부분의 건물과 구조물이 완전히 파괴되는 수준의 극심한 지진까지 총 12단계로 구분된다.

따라서 지진 규모와 진도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두 가지 척도로 활용된다. 진원에서 측정되는 절대적인 규모와 관측지점의 진도를 함께 고려하여 지진의 영향과 피해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1.2. 지진 발생 추이
1.2.1.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 현황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서기 2년부터 1904년까지 지진 발생 횟수가 1,800여 회에 달했으며, 역사에 기록된 지진 인명 및 재산 피해 횟수는 40여 회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한반도 지진 관측 횟수는 외형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규모 2 이상 지진이 많으며 1978년부터 1998년까지 발생한 지진은 총 19.1회였지만 디지털 관측기기 등이 도입된 1999년부터 2020년까지 지진 횟수는 70.6회로 늘어났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진들로는 2016년 9월 12일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가장 큰 지진과 2017년 11월 15일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 등이 있다.


1.2.2. 세계적 지진 발생 동향

세계적 지진 발생 동향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지진의 빈도와 규모에서 뚜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만 5천 건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중 상당수가 큰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환태평양 지진대라 불리는 환태평양 연안 국가들에서 지진 발생이 가장 빈번한 편이다. 이 지역은 판구조 운동이 활발하여 지진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 2011년 일본 동북부 지진(규모 9.0)과 2004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지진(규모 9.1) 등 세계 최대 규모의 지진이 이 지역에서 발생했다.

또한 중·남미와 유럽 지역에서도 규모 6.0 이상의 강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


참고 자료

동아일보, 日 후쿠시마 앞바다서 규모 7.3 지진… 도쿄도 ‘흔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317/112368664/1
경남일보, 학생안전체험교육원, 찾아가는 안전교실 개시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6129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4). 놀이형 어린이 지진 교육교재 및 교구개발
https://ndmi.go.kr/research/research/view.jsp?DOC_ID=D0000014032
이슬, 2017.09.20, 멕시코시티 규모 7.1 강진 발생해 사망자 속출…천발지진이라 피해 더 커뉴스한국,
https://www.newshankuk.com/news/content.asp?fs=1&ss=7&news_idx=*************01767
[네이버 지식백과] 지진 피해는 한 번으로 끝나지 않는다고요? (재미있는 화산과 지진 이야기, 2015. 2. 10., 이충환, 송진욱, 윤성효)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47309&docId=3353554&categoryId=47309
기상청, 지진 발생추이, https://www.weather.go.kr/w/eqk-vol/archive/stat/trend.do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 2021, 파주시
https://safe.paju.go.kr/safe/safe_03/safe_03_05/safe_03_05_01.jsp
지진 행동요령, 미리 확인하세요, 2017, 행정안전부
https://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contents/prevent/prevent09.html?menuSeq=126
아시아 경제, 경주 지진 1년, 행안부 11일~15일 '지진 안전주간' 지정..지진 시 대피요령 홍보, 아시아경제, https://news.v.daum.net/v/*************122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