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재료와 관련하여 연구동향 및 사회적 이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미세플라스틱의 정의
1.2.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 배경
2. 미세플라스틱 오염실태
2.1. 국내외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현황
2.2. 국내 플라스틱 생산 및 폐기물 발생 현황
3. 기술적 방안
3.1. 생분해성 플라스틱 상용화
4. 사회적 방안
4.1. 제품 생산 시 미세플라스틱 사용 규제
4.2. 미세플라스틱의 해양 유입 방지 정책
5. 국제적 방안
5.1. 해외의 실천 사례
5.2. 국제적 협력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미세플라스틱의 정의
미세플라스틱은 의도적으로 제조되었거나 기존 제품이 조각나 5mm 이하로 미세화된 합성 고분자화합물이다. 2004년 영국의 Thompson 박사가 현미경 수준에서 식별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해양환경에서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Microplastics'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미세플라스틱은 생성 기원에 따라 1차 미세플라스틱과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구분된다. 1차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레진펠렛, 세안제나 치약에 들어있는 플라스틱 알갱이, 공업용 연마제 등을 포함한다. 2차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제품이 사용되는 과정이나 버려진 후, 인위적으로 또는 풍화에 의해 조각나 미세화된 것을 말한다.
1.2.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 배경
해양에서 미세플라스틱이 최초로 발견된 것은 1970년대로, 미국 동부 해안과 영국 남서부 해안의 수표면, 해변 및 해산 어류의 위장에서 수 mm 크기의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되었다. 그 후 30년간 크게 주목받지 못하다가 2004년 Thompson 박사의 논문을 기점으로 미세플라스틱 이슈가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해안, 외딴 섬, 대양, 극지방에 걸친 지구 전체에 플라스틱 조각이 널리 분포한다는 사실이 점차 밝혀지면서 미세플라스틱 오염은 전지구적 환경 이슈로 부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우리나라 플라스틱 생산량은 크게 줄지 않고 있다.
2. 미세플라스틱 오염실태
2.1. 국내외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현황
국내외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현황은 심각한 수준이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 거제 칠천도 해역에서 바위털갯지렁이 10마리를 조사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되었으며 한 개체에서 최대 451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평균적으로 10개체당 132±122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2015년 조사에 따르면 국내 바다(경남 거제와 진해의 32곳)의 1m2당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는 해외 평균보다 8배 높은 수준이다. 또한 2016년 경남 거제와 마산 일대의 양식장과 근해의 굴, 담치, 게, 갯지렁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인(97%) 135개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
국내 해안에 미세플라스틱이 많은 이유는 스티로폼 부표에 의한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해변 18곳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의 대부분인 98%는 스티로폼 부표에서 나온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식장에서 주로 쓰이는 스티로폼 부표(60 리터)는 연간 200만개가 생산되고 있으며, 한 개당 수백만 개의 미세플라스틱, 수억 개의 나노 크기 입자로 쪼개진다. 경남 굴 양식장에서만 연간 약 66만 8천개의 스티로폼 부자 쓰레기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국외의 경우 Jambeck et al.(2015)...
참고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화장품정책과), 화장품법, [법률 제18448호, 2021. 8. 17., 일부개정]
신대욱,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15조원 돌파”, CMN, 2019
김대환, [2022 신년특집] 2022년 화장품업계 트렌드와 이슈는?, 코스인코리아, 2022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을 생각하다 31면
김영선, 기능성 화장품 함유된 주름개선 성분 종류와 특징, 약사공론, 2018
이지영·이정민, 주름 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개발의 최신 연구 동향분석,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21
식품음료신문 (www.thinkfood.co.kr)
VentureSquare (www.venturesquare.net)
Think&Wise (thinkwise.me)
네이버 블로그 - 북극 곰 (m.blog.naver.com/slrsodla60)
네이버 블로그 - 꿈꾸는햇님 (m.blog.naver.com/kim1291934)
고광윤, 신치범, 김창구(2010). 아주대학교 공학석사 학위논문. “생분해성 플라스틱”
안대한, 김정인(2018). 미세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 방지 정책. 환경정책, 26(3), 77- 102
한국석유화학협회(2020). 석유화학산업>통계>수급(연간)
한국해양과학기술원(2015).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연안환경 오염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2017). “해양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환경 위해성 연구”. 서울: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안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화솔루션 홈페이지. 생분해성 플라스틱 정의 및 종류. 접속일자 2020.10.21.
https://www.chemidream.com/2584
해양환경관리공단(2013).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해양환경 관리공단.
홍상희(2015). “미세플라스틱 해양오염 관련 국제동향,” 안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17). 국내IP 환경동향보고.
환경부 보도자료(2020). 미세플라스틱 등 환경문제 대응… 한∙독 연구기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