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AI IOT 어르신 건강관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보건소 AI IOT 어르신 건강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1.1.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1.2. 시니어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사례
1.2.1. 응급안전안심서비스
1.2.2.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시범사업
1.3. 시니어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국외 사례
1.3.1. 독일
1.3.2. 일본
1.4. 앞으로 나아갈 방향

2. 디지털 건강관리
2.1. 현황
2.1.1. 보건의료 패러다임 변화
2.1.2. 정부의 추진 방향
2.1.3. 디지털 개입에 대한 WHO 가이드라인
2.2. 디지털 건강관리 사업 현황
2.2.1. 공공 분야 디지털 건강관리 사업
2.2.2. 민간 분야 디지털 건강관리 사업
2.3. 문제점
2.3.1. 공공 분야 디지털 건강관리 사업의 문제점
2.3.2. 민간 분야 디지털 건강관리 사업의 문제점
2.4. 개선방안
2.4.1. 의료 정보 표준화 적용 및 연동 서비스 제공
2.4.2.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필요
2.4.3. 임상적 유효성 및 비용효과성 입증하여 건강보험 적용 노력 필요
2.4.4. 디지털헬스케어 관련 법 제정 및 정책 수립 필요
2.4.5. 사업 진행 인력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선 필요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1.1.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

디지털 헬스케어는 디지털기술(사물인터넷, 웨어러블기기,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과 헬스케어 분야 간 융합한 분야이다. 과거에는 e-Health, u-Health, 스마트헬스케어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며 발전해 왔으나, 현재는 디지털 헬스케어라는 용어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추세이다.

WHO는 디지털헬스케어를 건강과 관련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상적 혹은 혁신적 형태의 정보통신기술(ICT)을 사용하는 분야로 정의하며, 건강 관련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포함된다고 설명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디지털헬스케어가 모바일 헬스, 건강정보 기술, 웨어러블 기기, 원격진료 및 원격의료, 맞춤의료 등 광범위한 범주를 포괄한다고 정의한다. 국내에서는 디지털헬스케어를 "데이터로 연결된 지능기반의 건강관리로서 헬스케어와 의료 빅데이터를 연결한 최첨단 ICT가 융합한 개인의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는 의료서비스"라고 정의한다.


1.2. 시니어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사례
1.2.1.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독거노인과 장애인의 가정에 화재·가스감지기 등을 설치하여 화재·가스 사고 등의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응급상황을 알리고 119에 신고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독거노인과 장애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추진되고 있다. 화재나 가스누출 등의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즉시 119에 신고되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그러나 시범사업 운영 과정에서 장비의 오작동, 데이터 전송 오류, 정보 인식 오류, 전달체계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소방대의 잦은 출동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오류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사업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1.2.2.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시범사업

보건복지부는 한국판 디지털 뉴딜 사업의 하나로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시범사업'을 2020년 1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는 인공지능·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불필요한 방문 횟수를 줄이고, 건강측정기기, 스마트폰 등을 통해 보건소와 건강관리 상담을 받도록 하고 전화 및 이동통신(모바일) 앱을 통해 상시적 상담을 수행하는 사업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된 기기는 현재 손목 활동량계, 블루투스 체중계, 혈압계, 혈당계, AI 생활 스피커가 사용되고 있고, 각 기기 항목마다 4~6개 검증된 제품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앱을 통해서 기기 연동 및 데이터 전송과 노인에게 일상미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보유자만 가능하다는 점, 안드로이드 개발만 이루어져 아이폰 사용자는 서비스 참여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1.3. 시니어 대상 디지털 헬스케어 국외 사례
1.3.1. 독일

독일은 디지털 헬스케어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법(Digital Healthcare Act, Digitale?Versorgung?Gesetz; DVG)에 근거한 정책을 2019년 1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 정책의 핵심은 헬스케어 앱으로 처방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헬스케어 앱을 처방으로 사용할 수 있으려면 먼저 위험 등급 I 또는 IIa 의CE 인증 의료기기여야 하고 또한, German Federal Institute for Drugs and Medical Devices에게 긍정적인 헬스케어 효과, 데이터 보안 등 다양한 평가를 통과하면 처방 가능한 디지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디렉토리(DiGA directory에 등재된다. 디지털 헬스케어 앱은 DiGA directory에 등재될 시 약 7천 3백만 명의 독일 전국 의료보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일은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활성화시키고자 하고 있으며, 국민건강보험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 앱을 처방전으로 다룰 수 있게 되면서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CE 인증과 더불어 의학적 효과와 데이터 보안성 등을 인정받아야 하므로, 이는 헬스케어 앱 개발에 있어 일정 수준의 품질 관리를 담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1.3.2. 일본

일본은 고령화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호보험이라는 이름으로 노인 의료 돌봄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디지털케어를 위한 개호 데이터 수집과 연예 관련 관심은 2009년부터 시작되었고 2017년부터 통원·방문 재활치료 질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2020년부터 노인 상태·돌봄 내용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은 개호 데이터를 구축한 후 법 개정을 통해 의료 데이터와 개호 데이터 간의 연계도 시행할 계획이며, 또 일본은 로봇기술을 통해 노인의 자립 지원이나 돌봄노동 부담 경감을 위해 개호로봇을 개발하고 있으며, 개호로봇 도입을 위한 개호서비스의 생산성 개선 가이드라인을 2019년에 공개했고 후생노동성에서 '개호시설의 생산성 개선 추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개호보험 도입과 함께 개호 데이터 구축, 의료 데이터와의 연계, 개호로봇 개발 등을 통해 인구 고령화에 따른 돌봄 체계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특히 개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합적 돌봄 서비스 제공, 기술 혁신을 통한 돌봄 노동 부담 경감 ...


참고 자료

이윤경 외.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21.
이준영,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스마트 융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21.
전은선,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의 서비스품질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기대와 사용자효용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관계부처합동. 한국판 뉴딜 2.0 : 미래를 만드는 나라 대한민국. 관계부처합동. 2021.
정책보도자료, 「어르신, 가정에서 비대면으로 건강관리서비스 받으세요!」, 보건복지부, 2020.10.29
보건복지부. 「2022년도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pp. 3-5. 2022.
WHO 홈페이지 https://www.who.int/publications/who-guidelines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 정신건강관리 솔루션의 활용 현황과 전망, 보건산업브리프 Vol.350, 2022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공공형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보고서(연구-04-2020-011-01), 2020.12.
진우강, 이성원(2020). 노인을 위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개발 동향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6(1), 245-260.
최진영,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헬스케어 기술 동향, KOSEN-코센리포트, 2022
문세연, 윤영미, 한태화, 이상은, 장혁재(2018).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보건의료 제공자의 인식. J Health Info Stat, 43(1), pp.54-63.
이준영. (2020.5.7.). 한국형 뉴딜 ‘비대면·디지털·SOC’ 추진. 시사저널e.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9). 2019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시범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재단. (2013). 2013년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6). 2016 보건소 모바일헬스케어 사업 총괄안내서.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7). 보건의료기관 ICT 활용 협진 시범사업 설명회 자료집.
Standing M, Hampson E. (2015). Digital health in the UK: an industry study for the office of life sciences. Monitor Deloitte.
황아름, 강현욱(2019). 대학생의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2(3)
정재은, 양진홍(2022),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방안에 관한 연구 – 개인정보 라이프사이클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jkiiect)’22-4, Vol.15 No.2
박나영, 윤난희, 박남수, 김영복, 곽민선, 장사랑(2022). 인터넷 건강정보활용능력(eHealth literacy)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경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9권 제4호(2022. 10) pp.67-76
성인간호학(하), 현문사-UNIT 6 활동, 휴식장애 대상자 간호(338~353pg)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근육강화 및 신장운동
달서구보건소-물리치료실, 통합건강관리실 운영, 칼로리컷 비만탈출 프로그램.
국민건강보험공단- 보조기기대여서비스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