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간중심 상담 비교 및 관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상담심리학의 주요 이론별 인간관과 심리적 증상
1.1. 정신분석상담의 인간관과 심리적 증상
1.1.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기반
1.1.2. 무의식과 결정론적 관점
1.1.3.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심리적 에너지 분배
1.1.4. 불안의 유형(현실적 불안, 신경증적 불안, 도덕적 불안)
1.2. 행동주의상담의 인간관과 심리적 증상
1.2.1. 환경결정론 관점
1.2.2. 행동수정을 통한 문제행동 치료
1.2.3. 환경적 경험과 학습의 중요성
1.3. 인간중심상담의 인간관과 심리적 증상
1.3.1. 자기인식과 현실경험의 불일치
1.3.2. 부정적 감정과 긍정적 감정의 상호작용
1.3.3. 개인의 성격 및 사고방식 차이에 따른 반응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상담심리학의 주요 이론별 인간관과 심리적 증상
1.1. 정신분석상담의 인간관과 심리적 증상
1.1.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기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행동과 성격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은 무의식이라고 주장하였다. 무의식은 의식 수준에서 드러나지 않지만 인간의 행동을 좌우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분하였다. 원초아는 본능과 충동의 집합체이며, 자아는 현실감각을 가지고 본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초자아는 사회적 규범과 도덕을 내면화한 심리적 요인이다. 이 세 요소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따라 인간의 성격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특히 이러한 심리적 에너지의 분배에 따라 인간행동이 결정된다고 설명하였다. 원초아에 에너지가 집중되면 충동적이고 본능적인 행동이, 자아에 에너지가 집중되면 현실적이고 이성적인 행동이, 초자아에 에너지가 집중되면 도덕적이고 이상적인 행동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처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무의식과 인간 심리의 본질을 탐구하여 인간행동을 설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상담심리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1.1.2. 무의식과 결정론적 관점
정신분석상담에서는 무의식이라는 개념과 인간의 행동이 어린시절의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는 결정론을 기본적인 전제로 삼고 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무의식적 본능과 충동을 의미하는 원초아, 현실과 이성의 작용인 자아, 도덕과 양심의 작용인 초자아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이 세 가지 요소는 각각의 심리적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데, 한 요소에 에너지가 집중되면 다른 요소에는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부족해지게 된다. 이러한 심리적 에너지의 분배에 따라 인간의 행동이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 프로이트의 핵심 이론이다. 즉, 정신분석상담은 무의식적 힘과 그에 따른 결정론적 관점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3. 원초아, 자아, 초자아의 심리적 에너지 분배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원초아, 자아, 초자아 이 세 가지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원초아는 생물적 구성요소, 자아는 심리적 구성요소, 초자아는 사회적 구성요소이다. ...
참고 자료
노안영(2005).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박성수,김창대,이숙영 공저(2000) 『상담심리학(상담이론 및 실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