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이 일방적으로 침탈한 사실이 영토주장이 허위임이 드러났다. 이 같은 사실은 부산외국어대 김문길교수가 지난 25일 발견한 시마네현 고문서 자료집에 수록된 관보 에서 발견됐다. 이 ... 소화 12년(1937년)에 조선총독부가 어획고 향상을 위해 조선의 동 근해지역을 측량,어장과 바다깊이 등을 수록해 발간한 것으로 침략기이후 일본의 영유권 주장을 뒤엎는 자료로 평가 ... , 한국의 독도 접안공사와 유인등대 착공에 대한 일본의 항의 등은 독도전쟁이라는 최악의 상황이 언제든지 현실속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더욱이 지난 98년 11월, 일본
한 토지도 조약은 일본에게 3개의항구(원산, 인천, 부산)를 개항하고 일본인에게 거류지를 제공하며 조선의 해안 측량권 제공, 개항장에서의 일본인들에 대한 치외법권인정 등을 인정해주는등 ... 도시가 생겨났다. 그리고 전국적으로 토지제도 개혁을 실시하여 토지 1필지마다 지가를 확정하고 토지 소유권자에게 지권을 발행하였다. 이 정책으로 인해 토지 소유자는 지가의 3%를 금납 ... 에 이른다. 이로써 친러 내각은 붕괴되나, 조선의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대피하는 아관파천이 발생하자 4개월 만에 또 다시 친러 정부가 세워졌다. 게다가 러시아는 만주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