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0개
-
heparinization (잠금용액) 계산 및 주의보관법2025.05.061. 헤파린 잠금용액 계산 헤파린 잠금용액은 국내종양간호학회 권고안에 따라 100unit/mL 헤파린 5mL을 기준으로 하며, 이에 맞춰 생리식염수 용량을 1:1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인 계산 예시로는 1000unit/10mL, 1000unit/20mL, 20000unit/20mL, 25000unit/5mL 등이 제시되어 있다. 2. 헤파린 잠금용액 주입 주기 중심정맥관은 희석농도에 따라 3일~7일, 매립형 포트는 4주~6주마다 헤파린 잠금용액을 주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3. 헤파린 바이알 보관 방법 헤파린은 다른 약품과...2025.05.06
-
식도암 질병보고서2025.01.041. 식도암 식도암은 식도에 발생하는 암으로, 주로 편평상피암과 선암으로 구분됩니다. 편평상피암은 식도암의 95%를 차지하며, 식도 상부 1/3 이상 부위에서 발견됩니다. 선암은 최근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 만성 위식도 역류에 의한 바렛식도로 발생합니다. 식도암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흡연, 음주, 식습관, 영양결핍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점진적인 연하곤란, 역류,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을 위해 식도 조영술, 내시경, 초음파 내시경, CT 등의 검사가 시행...2025.01.04
-
저혈량성 쇼크 사정, 증상, 간호중재2025.05.011. 저혈량성 쇼크 사정 저혈량성 쇼크 환자 사정 시 비침습적 사정과 침습적 사정 방법을 포함합니다. 비침습적 사정에는 전신상태, 호흡, 맥박, 혈압, 체온, 의식상태, 관절운동, 피부점막, 경정맥 팽대, 호흡양상, 통증, 복부/사지 둘레, 심음, 폐활량 측정 등이 있습니다. 침습적 사정에는 중심정맥압, 동맥내압, 폐동맥압, 심박출량 측정 등이 포함됩니다. 2. 저혈량성 쇼크 증상 저혈량성 쇼크의 주요 증상으로는 심혈관계(심박출량 감소, 수축기 혈압 저하, 맥박 증가, 맥압 감소, 체위성 저혈압, 중심정맥압 저하, 말초 저항 증가)...2025.05.01
-
간호통합실습_ 핵심술기간호과정_ 간호기록형식과정_ 간호과정3개_2025.01.171. 기관 내 흡인 환자의 객담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호흡곤란 증상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관 내 흡인 술기를 적용하였습니다. 흡인 전 과환기를 실시하고, 반좌위를 취한 후 흡인압 120mmHg, 흡인 길이 12cm, 카테터 12G를 사용하여 15초 이내로 흡인을 실시하였습니다. 흡인 중 저산소증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노랗고 묽은 양상의 객담이 다량 배출되었습니다. 환자는 숨쉬기가 편안해졌다고 표현하였고, 호흡곤란 증상도 해소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 정맥 주사 수술 부위에서 혈액성 삼출물이 oozing되어 드레싱이...2025.01.17
-
아동간호학 장염 case study) 지속적인 설사, 구토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 불충분한 식이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2025.01.121. 체액불균형 지속적인 설사와 구토로 인해 체액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섭취량, 배설량을 모니터링하고 수액 요법을 통해 체액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보호자에게 구토와 설사의 원인 및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대상자의 상태 호전을 돕습니다. 2. 영양불균형 지속적인 구토와 설사로 인해 섭취량이 감소하고 체중이 감소하는 등 영양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상자의 체중과 섭취량, 배설량을 모니터링하고 점진적으로 식이를 진행하며, 필요 시 수액 요법을 통해 영양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2025.01.12
-
통합간호 시나리오2025.05.061. 간호 중재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간호 중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includes 환자 확인, 활력징후 측정, 산소요법 적용, 정맥주사 확인, 혈당 측정 및 투약, 낙상 예방 교육 등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반응을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상태 호전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2. 의식 수준 평가 간호사는 환자의 의식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GCS(Glasgow Coma Scale)를 사용하였습니다. 환자의 눈 뜨기,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을 평가하여 전반적인 의식 상태를 파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2025.05.06
-
임상에서 사용하는 수액2025.05.131. 수액의 정의 수액(fluid)은 흔히 말하는 링거액이나 체액 성분 또는 영양 성분을 보충하기위한 액체를 체내에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링거액은 수액의 한 종류이다. 2. 수액의 종류 수액은 크게 정질용액과 교질용액으로 나눌 수 있다. 정질용액은 혈관 외 공간으로 자유로이 확산될 수 있는 작은 분자들로 이루어진 전해질 용액이며, 교질용액은 혈관벽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혈관 내에 남아 교질삼투압을 형성하여 수분을 잡아둠으로써 혈장량을 증가시킨다. 3. 수혈 수혈(Blood transfusion)은 치료를 목적으로 사람...2025.05.13
-
병원 내 감염관리를 위한 방법 - 미생물학2025.01.141. 병원감염의 정의와 발생 원인 병원감염은 입원 당시에는 증상이 없고 잠복상태도 아니었던 감염증이 입원 후에 혹은 퇴원 후에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병원감염의 발생 원인은 내인성 감염원과 외인성 감염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인성 감염원은 환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균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이며, 외인성 감염원은 의료진, 다른 환자, 오염된 의료기기, 병원 환경 등에서 균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감염이다. 2. 병원감염 관리의 필요성과 목적 병원감염 관리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 의료비 부담, 윤리적 측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2025.01.14
-
위궤양과 상부위장관출혈의 문헌고찰2025.11.121. 위궤양의 정의 및 원인 위궤양은 위장 점막이 흡연, 스트레스, 약제, 헬리코박터균 감염, 악성종양 등에 의해 손상되어 점막근층 이상으로 진행된 상태입니다. 소화성 궤양은 점막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와 점막 손상을 유발하는 공격인자의 균형이 깨질 때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가장 흔함), 진통제 복용, 흡연 등이 있으며, 위산분비 증가보다는 위장 점막의 병적 변화로 인한 방어인자 감소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위궤양의 진단 및 치료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사는 위궤양 진단의 가장 추천되는 방법으로, ...2025.11.12
-
PICC (말초삽입중심정맥관) 보고서2025.01.141. PICC (말초삽입중심정맥관) PICC는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의 줄임말로 말초삽입형중심정맥관을 의미하며 팔의 정맥을 통해 삽입하여 상대정맥까지 연결되는 가느다란 카테터입니다. PICC는 주로 상완의 척측 피정맥(basilic vein) 또는 요측 피정맥(cephalic vein) 또는 상완정맥(brachial vein)을 통해 상대정맥(superior vein)으로 카테터를 삽입하게 됩니다. 2. PICC 적응증 PICC는 손이나 발 등의 말초 정맥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장기...2025.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