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개
-
마취 약물 정리2025.11.111. 벤조디아제핀 길항제 (Benzodiazepine Antagonist) 플루닐주(flumazenil)는 imidazobenzodiazepine 유도체로 GABA/벤조디아제핀 수용체 복합체의 벤조디아제핀 부위를 경쟁적으로 억제한다. 마취 시 초회량 0.2mg IV 투여 후 60초 내 의식 회복이 없으면 0.1mg IV를 추가 투여한다. 작용 발현은 1~2분, 지속시간은 2~3시간이다. 주요 부작용은 오심, 구토, 심계항진, 불안, 진전 등이며, 삼환계 항우울제 중독 환자와 수유부에게는 금기이다. 2. 칼슘 길항제 (Calcium ...2025.11.11
-
콜린성 작용제와 길항제의 약리학적 정리2025.11.131. 콜린성 작용제 콜린성 작용제는 직접 작용성과 간접 작용성으로 분류된다. 직접 작용성 작용제로는 베타네콜(장운동 증가, 배뇨 촉진), 카르바콜(심혈관 및 위장관계 효과, 녹내장 치료), 필로카르핀(눈물/타액분비 촉진, 녹내장 응급치료)이 있다. 간접 작용성 가역적 작용제는 피소스티그민, 네오스티그민, 피리도스티그민, 도네페질(알츠하이머 증상 완화)이 있으며, 비가역적 작용제로는 에코타이오페이트가 있다. 2. 콜린성 길항제 콜린성 길항제는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이다. 아트로핀은 무스카린 수용체에 높은 친화력을 가지며 아세...2025.11.13
-
DKA HHS 인슐린 및 당뇨약 치료2025.11.131. 당뇨병성 케톤산증(DKA)과 고삼투압 고혈당 상태(HHS) DKA는 제1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부족으로 발생하며 빠른 고혈당 증상을 보인다. 혈당 250-500mg/dL, 동맥혈 pH 7.3 이하, 케톤 양성이 특징이다. HHS는 제2형 당뇨병 노인에서 점진적으로 발생하며 혈당 600mg/dL 이상, 심한 탈수, 의식변화를 보인다. DKA 치료는 체액 보충(0.45-0.9% NaCl), 인슐린 투여(시간당 0.1IU/kg), 칼륨 보충이 필수이다. HHS 치료는 0.9% NaCl 수액과 인슐린(RI만 사용)으로 혈당을 천천히 낮...2025.11.13
-
천식 약리 및 이뇨제 약물 정리2025.11.131. 천식 치료제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들을 분류하면, β수용체 작동제는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키며 epinephrine, orciprenaline, salbutamol, salmeterol 등이 있다. 부신피질 스테로이드는 기도과민 병태를 개선하고, Muscarine 수용체 길항제와 Theophylline은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막안정화제와 항알러지제는 감작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저지하며, 염증 중개자 저해제와 Th2 helper T세포 억제제는 염증 반응을 조절한다. 2. 이뇨제 분류 및 작용기전 이뇨제는 작용 부...2025.11.13
-
병동 약품 정리2025.11.131. 간보호제 및 담즙산분비촉제 간 기능 보호 및 담즙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들로, 독성 간질환, 만성 간염, 간경변 초기 치료에 사용된다. 레가론, 리비탈, 우루사 등이 포함되며, 각각 다른 유효성분으로 간 손상을 완화하고 간 기능을 개선한다. 부작용으로는 위장장애,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결핵치료제 결핵균 감염 치료를 위한 항결핵제들로 크로세린, 마이암부톨, 리팜핀, 유한짓정 등이 있다. 이들은 결핵 및 기타 결핵증의 치료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다른 항결핵제와 병용 투여된다. 부작용으로 신경계 증상, 시력장애...2025.11.13
